7일 조선비즈가 부동산 전문가 10인을 대상으로 한 설문조사에 따르면 전문가 10인 모두 서울의 아파트값은 앞으로도 상승세를 이어갈 것으로 전망했다. 일시적 관망세를 보이겠지만 연내 반등한다는 데에 입을 모았다. 장기적으로는 ‘공급부족’이 심화되면서 상승세를 이어갈 것이라는 분석도 일치했다.
그래픽=정서희 |
<이미지를 클릭하시면 크게 보실 수 있습니다> |
◇”서울 집값 연내 최대 10% 상승”도… ‘공급부족’ 장기상승 요인
전문가들은 이러한 관망세가 일시적일 것으로 봤다. 토허제 지정이 장기적인 가격 안정에 큰 효과가 없다는 것은 이미 연구결과로도 나와 있다. 이창무 한양대 도시공학과 교수가 지난해 12월 서울시 시민토론회에서 “규제 초기에는 가격 안정효과를 보였지만, 시간이 지나면서 효과가 떨어졌다”고 발표했다. 헌재가 인용 판결을 내리면서 정치적 불확실성도 연내로 봉합돼 시장도 제자리를 찾을 것이라는 분석이다.
윤지해 부동산R114 수석연구원은 “수요층들이 토허제에 내성이 생기고 난 뒤 부터는 압여목성(압구정·여의도·목동·성수동) 등 기존 규제지역처럼 가격 상승 억압의 효과는 약해질 것”이라고 했다.
‘공급부족’은 서울 아파트 매매가격을 장기적으로 밀어올릴 요인으로 지목됐다. 부동산R114에 따르면 올해 서울 아파트 입주 예정 물량은 총 3만7681가구로 집계됐다. 이어 2026년에는 9640가구, 2027년 9573가구로 급감할 것으로 보인다. 이는 최근 5년 평균치(4만716가구)의 23% 수준이다.
박원갑 KB국민은행 부동산수석전문위원은 “아파트 전세가격이 강세를 보여 매매가격에도 영향을 줄 것”이라면서 “서울의 주택보급률이 93.6%, 자가보유율이 44%로 낮은데다 외지인 투자도 증가세를 보이고 있다”고 했다.
서울 용산구 서빙고동 신동아 아파트 전경./뉴스1 |
<이미지를 클릭하시면 크게 보실 수 있습니다> |
◇단기적으로는 ‘풍선효과’… 강남·용산, 실수요 유입 지속
서울 아파트 매매가격을 지역별로 전망해 보면 단기적으로는 강남3구·용산구 외 지역으로 ‘풍선효과’가 있을 것이라는 의견이 압도적이었다. 서울시가 지난달 10일 강남3구와 용산구 전역을 토지거래허가구역으로 확대 재지정했다. 그 인근 지역으로 매수세가 일시적으로 몰릴 수 있다는 의견도 나온다. 부동산R114에 따르면 지난 1월 기준 용산구와 성동구, 마포구의 아파트 평균가격은 용산구 21억9880만원, 성동구 15억466만원, 마포구 13억9678만원이다.
고준석 연세대학교 상남경영원 교수는 “개인 사정상 전세를 끼고 내 집 마련이 필요한 실수요자는 토허제 지역이 아닌 곳으로 시선을 돌릴 수 있다”면서 “동작구, 마포구, 성동구, 강동구 지역으로 옮겨가는 풍선효과가 나타나 이 일대 아파트 가격도 상승할 것으로 보인다”고 했다.
토허제로 묶인 강남3구, 용산구에 대한 전망도 여전히 긍정적이었다. 거래량은 다소 줄더라도 소수의 거래가 신고가로 이어지면서 강세를 보일 것이라는 것이다. 강남구 압구정동 ‘신현대 11차’ 전용 183㎡는 지난달 19일 92억원에 거래되며 신고가를 경신했다. 압구정동 ‘현대 1차’ 196㎡도 같은 달 92억원에 손바뀜 됐다. 대치동 ‘한보맨션2′ 전용 190㎡도 지난달 21일 58억5000만원, 용산구 이촌동 ‘한강맨숀’ 전용 102㎡는 23일 43억8940억원에 각각 최고가를 썼다.
박합수 건국대 부동산대학원 겸임교수는 “강남3구, 용산구는 현재 집중적인 개발을 앞두고 있어 미래가치에 대한 기대감과 공급 부족으로 인한 희소가치가 더욱 높아지고 있다”면서 “고급 커뮤니티에 대한 진입 희망과 부자들의 자산 대물림 현상 등으로 가격 상승 추세가 지속될 확률이 높다”고 했다.
다만 공급량이 많은 서울 동북권에 대한 전망은 어두웠다. 부동산R114에 따르면 올해 서울 주요 아파트 입주 물량 총 1만4734가구 중 65%(9603가구)가 동북권에 몰려있다.
우병탁 신한은행 프리미어 패스파인더 전문위원은 “입주물량 많은 동대문 이문·휘경, 장위뉴타운 일대를 중심으로 약보합 유지할 것”이라면서 “안양, 과천, 수원 등은 강보합, 경기도 기타 지역은 하반기까지 소폭 하락할 것으로 예상한다”고 했다.
함영진 우리은행 부동산리서치랩장은 “올해 서울 주택 구입 선호도 강남권, 한강변에만 집중되는 모습”이라면서 “고분양가 이슈로 노원구, 도봉구, 강북구 등의 정비사업 수익성이 낮아지면서 거래가 주춤한 모습”이라고 했다.
조은임 기자(goodnim@chosunbiz.com)
<저작권자 ⓒ ChosunBiz.com,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이 기사의 카테고리는 언론사의 분류를 따릅니다.
기사가 속한 카테고리는 언론사가 분류합니다.
언론사는 한 기사를 두 개 이상의 카테고리로 분류할 수 있습니다.
언론사는 한 기사를 두 개 이상의 카테고리로 분류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