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일(현지시간) 미국 워싱턴 백악관 로즈 가든에서 열린 기자회견에서 도널드 트럼프 대통령이 새로운 관세 부과 정책을 발표하고 있다/AP 연합뉴스 |
<이미지를 클릭하시면 크게 보실 수 있습니다> |
아시아투데이 정리나 하노이 특파원 =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의 전 국가 상호관세 부과 발표와 함께 세계 최고수준의 관세율을 적용받은 베트남이 충격에 빠졌다.
트럼프 대통령은 2일(현지시간) 상호 관세 부과 방침을 전격 발표하며 관련 행정명령에 서명했다. 미국은 베트남에 46%의 상호관세율을 부과했다. 캄보디아(49%), 라오스(48%) 등 인도차이나 이웃 국가들과 함께 초고율 관세를 적용받은 셈이다. 이웃인 태국 역시 36%의 고율 관세를 부과받았다.
이번 조치로 미국에선 5일 0시 1분(미국 동부시각·한국 5일 오후 1시1분)부터 모든 국가로부터의 수입품에 10%의 관세, 9일 0시 1분(미국 동부시각·한국 9일 오후 1시 1분)에는 상호관세가 발효된다.
베트남상공회의소(VCCI) 관계자는 "캄보디아·라오스 등 베트남보다 높은 상호관세율을 적용받은 나라도 있지만 실제 미국 시장에서 경쟁관계에 있는 태국(36%)·인도네시아(32%)·인도(26%)·필리핀(17%) 등은 더 낮은 관세를 부과받았다"며 "주요 경쟁국에 비해 베트남이 10~20%포인트 더 높은 세율을 적용 받는 셈이다. 가격 경쟁력에서 밀릴 수밖에 없고 전자·섬유·목재·신발 등 베트남의 주력 수출 품목에 큰 타격이 될 수도 있다"고 짚었다.
베트남 기관과 기업 관계자들은 46%에 달하는 이번 세율이 "끔찍하다"며 당혹감과 우려를 드러내고 있다. 트럼프 행정부의 상호관세를 피할 수 없을 것이라 '예상'은 했지만 예상을 뛰어 넘은 '충격'으로 다가왔다는 것이다. 현지 업계에선 무엇보다도 베트남에게 적용된 초고율 관세로 인도·태국·말레이시아·인도네시아 등과의 경쟁에서 경쟁 우위를 상실하게 된다는 우려가 터져나오고 있다.
베트남 정부와 당에서는 무엇보다도 트럼프 행정부의 이번 관세가 그간 베트남의 성장을 견인해 온 외국인투자에도 미칠 영향을 우려하고 있다. 베트남은 트럼프 1기 중국과의 무역전쟁에서 가장 큰 수혜를 본 국가로 꼽힌다. 당시 미국이 중국에 부과했던 관세장벽을 피하기 위해 세계 각국의 기업들이 생산기지를 베트남으로 옮겼기 때문이다.
삼성전자부터 미국의 애플·인텔·나이키 등 중국 의존도를 낮추려는 세계적 기업들의 공급망 이전이 이어지며 베트남 경제도 이에 힘입어 빠르게 성장했다. 하지만 베트남에 부과될 46%의 초고율 관세는 이런 베트남의 '장점'을 상쇄해버리다 못해 오히려 타격을 안길 수 있다. 이에 외국인 투자자들이 과거 중국을 떠났듯, 베트남에서도 빠져나갈 수 있단 우려가 나오는 것이다.
베트남에 대거 진출한 한국기업들 역시 이번 조치로 베트남 외 공급망의 생산 조정을 검토하는 등 득실계산에 나섰다. 현지 업계 관계자는 본지에 "삼성, LG 등 대기업들은 물류비용 등을 따지며 세율이 낮은 다른 거점의 생산을 늘리는 식으로 조정하면서 활로를 모색하겠지만 베트남 현지에 나와있는 중소 기업들로선 난처할 수 밖에 없는 상황"이라 전했다.
지난해 중국·유럽연합(EU)·멕시코에 이어 4번째로 큰 1235억 달러(약 181조원)의 대미 무역흑자를 기록한 베트남은 트럼프 행정부의 표적이 될 것이란 우려를 받아왔다. 트럼프 대통령은 줄곧 베트남을 '악랄한 무역 남용국'이라고 비판해오기도 했다.
임기 초반 중국과 멕시코를 직접 겨냥한 트럼프의 공세에서 비껴난 베트남은 액화천연가스(LNG)·농산물 등 미국산 상품 구매 확대와 대미 관세 인하 등 무역 흑자를 줄이는 '무역 균형' 정책 추진 등으로 트럼프 행정부에 구애를 펼쳐왔다.
ⓒ "젊은 파워, 모바일 넘버원 아시아투데이"
이 기사의 카테고리는 언론사의 분류를 따릅니다.
기사가 속한 카테고리는 언론사가 분류합니다.
언론사는 한 기사를 두 개 이상의 카테고리로 분류할 수 있습니다.
언론사는 한 기사를 두 개 이상의 카테고리로 분류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