올해 아카데미와 골든 글로브 장편 애니메이션상을 휩쓴 ‘플로우’는 인간은 단 한 명도 등장하지 않고, 대사 역시 한마디도 없다. 그저 놀라우리만치 자연스러운 움직임을 보여주는 동물의 우정과 성장 스토리로, 때로는 공포스럽게 육지를 삼키고 때로는 눈이 부실 정도로 유려하게 흘러가는 물결만으로 85분간 몰입하게 만든다.
[※ 본 기사에는 영화의 스포일러가 될 만한 줄거리가 포함되어 있습니다.]
(사진 판씨네마㈜) |
<이미지를 클릭하시면 크게 보실 수 있습니다> |
산 정상에 거대한 고양이 상이 있는 곳. 아마도 오랜 기간 고양이를 키웠을 듯한 인간의 집 앞에 놓인 고양이 조각상들.
인간이 살았던 흔적만이 남아있는 세상, 홀로 집을 지키던 고양이는 갑작스러운 대홍수로 평화롭던 일상과 아늑했던 터전을 잃고 만다. 혼자 고립되고, 때론 목숨을 잃을 위기를 넘긴 고양이는 때마침 다가온 낡은 배에 올라탄다. 그 안에서 육지에서 만난 개떼 중 하나였던 골든 리트리버, 원래 배의 주인이었던 설치류 카피바라, 물건을 모으기 좋아하는 여우원숭이, 마치 영물 같은 희고 큰 새인 뱀잡이 수리를 만난다.
최초로 아카데미상을 수상한 라트비아 작품 ‘플로우’를 만든 긴츠 질발로디스 감독은 1994년 생으로, 첫 장편 애니메이션 ‘어웨이’를 작화부터 편집, 음악까지 1인 제작으로 완성해 주목받았다. 이번에도 역시 거의 혼자 만든 것과 마찬가지인 ‘플로우’로 국제 영화제와 시상식에서 63관왕을 휩쓸며 현재 전 세계에서 가장 핫한 애니메이션 연출가가 됐다.
(사진 판씨네마㈜) |
<이미지를 클릭하시면 크게 보실 수 있습니다> |
‘플로우(flow)’라는 제목처럼 영화에서는 ‘물’, ‘물결’이 주요 소재로 등장한다. 영화 초반의 평화로운 땅을 집어 삼킨 무서운 물, 아기 고양이가 처음으로 직접 깊은 물에 들어가 물고기를 잡아오는 장면, 배를 집어삼킬 듯한 파도의 격랑 등 물은 주인공의 성장과 극복의 주요 배경이다. 그 과정에서 고양이는 동물들에게 자신의 곁을 내어주고, 함께 공존하는 법을 배워가며 팀을 이뤄 험난한 파도를 헤쳐나간다.
영화의 마지막, 극은 해피엔딩 대신 현실을 이야기한다. 그러나 고양이는 이제 아기 고양이가 아니며, 또 혼자도 아니다. 영화의 시작 장면에서 물에 비친 자신의 모습을 홀로 바라보던 고양이는 영화의 마지막에서 다른 동물들과 함께 물속을 바라본다. 수채화 같은 배경 색감과 물결 위 윤슬이 너무나 아름답다. 동물들의 목소리와 눈빛, 움직임만으로도 힐링이 되는 작품. 러닝타임 85분.
(사진 판씨네마㈜) |
[글 최재민 사진 판씨네마㈜]
[ⓒ 매일경제 & mk.co.kr, 무단 전재, 재배포 및 AI학습 이용 금지]
이 기사의 카테고리는 언론사의 분류를 따릅니다.
기사가 속한 카테고리는 언론사가 분류합니다.
언론사는 한 기사를 두 개 이상의 카테고리로 분류할 수 있습니다.
언론사는 한 기사를 두 개 이상의 카테고리로 분류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