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치권·경제 원로들 한목소리
승복은 민주주의의 기본 문제
정치권 분열적 행동하지 말고
사회 통합의 제역할 앞장서야
선고후 대미 통상외교 집중해
관세피해 최소화 방안 찾아야
전국지표조사 진영갈등 심각
“내 생각과 달라도 수용”50%
승복은 민주주의의 기본 문제
정치권 분열적 행동하지 말고
사회 통합의 제역할 앞장서야
선고후 대미 통상외교 집중해
관세피해 최소화 방안 찾아야
전국지표조사 진영갈등 심각
“내 생각과 달라도 수용”50%
윤석열 대통령에 대한 탄핵심판 선고를 하루 앞둔 3일 국민의힘 의원들이 서울 종로구 헌법재판소에서 탄핵 각하를 촉구하는 기자회견을 하고 있다. 왼쪽부터 이인선·윤재옥·나경원·권영진·박대출 의원. [사진=연합뉴스] |
<이미지를 클릭하시면 크게 보실 수 있습니다> |
헌법재판소가 4일 윤석열 대통령에 대한 탄핵심판 선고를 마친 이후 진영 간 갈등과 분열이 더욱 심화될 가능성이 제기된다. 물리적 충돌 우려까지 나오면서 각계 원로들은 한목소리로 ‘승복’과 ‘자제’를 당부했다. 민주공화국의 법치주의 원칙을 유지하기 위해선 결과를 수용하고 이제 미래로 나아가야 한다는 사회적 공감대가 꼭 필요하다는 지적이 많았다. 경제관료를 역임한 원로들은 최근의 정치적·경제적 상황을 가리켜 ‘전대미문의 위기’라고 진단했다.
국민 여론도 여전히 날이 서 있다. 엠브레인퍼블릭·케이스탯리서치·코리아리서치·한국리서치가 지난달 31일부터 2일까지 만 18세 이상 남녀 1001명을 대상으로 진행해 3일 공개한 전국지표조사(NBS)에 따르면 ‘탄핵심판 결과가 내 생각과 달라도 수용하겠다’는 응답은 50%에 그쳤다. ‘내 생각과 다르면 수용하지 않겠다’는 의견이 44%에 이른다. 직전 조사와 비교하면 수용하겠다는 의견은 6%포인트 줄어든 반면, 수용하지 않겠다는 의견은 4%포인트 늘었다.
이를 두고 헌재에 대한 신뢰가 저하됐기 때문이라는 분석도 나온다. 같은 조사에서 헌재의 탄핵심판 과정을 ‘신뢰한다’는 답변과 ‘신뢰하지 않는다’는 답변이 46%로 같게 나왔다. 이는 일주일 전에 비해 신뢰한다는 응답은 7%포인트 감소했고, 신뢰하지 않는다는 의견은 6%포인트 증가했다.
<이미지를 클릭하시면 크게 보실 수 있습니다> |
정치권 원로들은 사회 분열 심화를 우려하며 “어떠한 결과가 나오더라도 승복해야 한다”는 점을 강조했다. 특히 정치권이 먼저 분열적 행동을 멈춤으로써 사회 통합을 위한 제 역할을 해야 한다는 간곡한 호소도 내놨다.
더불어민주당 출신인 문희상 전 국회의장도 “결과가 어떻게 나오든지 승복하는 것이 가장 중요하다”고 강조했다. 문 전 의장은 “헌법에 승복 규정이 있고 없고의 문제가 아니다”면서 “우리가 민주주의 제도를 채택한 이상 헌법을 따라야 하고, 헌법에 대한 최종 판단 기관으로 헌재를 인정했다”고 말했다. 그러면서 “승복은 민주주의의 기본에 관한 문제”라고 덧붙였다.
더불어민주당 의원들이 3일 서울 종로구 광화문 앞 텐트 농성장에서 윤석열 대통령 파면을 촉구하는 기자회견을 하고 있다. 뒷줄 왼쪽부터 시계방향으로 안태준·이연희·맹성규·박범계·송기헌 의원이 피켓을 들고 있다. [사진=연합뉴스] |
<이미지를 클릭하시면 크게 보실 수 있습니다> |
한국 경제의 고도성장기를 이끈 경제관료 출신들도 정치적 안정을 강조했다. 윤증현 전 기획재정부 장관은 현재 대한민국 경제 상황을 “전대미문의 내우외환으로 한꺼번에 이렇게 여러 가지 문제가 덮쳐온 것은 전례가 없다”고 진단하면서 “국내 정치·경제 사령탑의 공백, 리더십 실종이 심각한 수준이다. 외부에서는 미국 도널드 트럼프 신정부의 보호무역주의가 강화되고 있고, 러시아·우크라이나 전쟁 여파로 공급망 문제가 발생하고 있다”고 했다.
이어 탄핵 선고에 따른 정치 불안이 계속될 수 있는 상황을 놓고는 대미 통상전략 등 외교력이 더욱 흔들릴 것이라는 우려를 먼저 내놨다. 윤 전 장관은 “국가 컨트롤타워가 없으니 외국에서 한국을 자꾸 패싱하는 것 아니냐”며 “헌재 선고 결과와 상관없이 정치적 안정을 확립하는 게 가장 시급한 과제”라고 강조했다.
윤 전 장관은 “정치적 혼란 속에서도 경제 정책만큼은 기업 경쟁력을 강화하는 방향으로 일관성을 유지해야 한다”면서 “반시장, 반기업식 입법은 그만둬야 한다. 기업가정신을 살려서 기업인들이 경쟁력을 회복할 수 있게끔 민간기업을 살려주는 입법이 이뤄져야 한다”고 지적했다.
내수침체에 사상 초유의 산불 피해까지 겹친 상황을 타개하기 위해선 추가경정예산 집행을 서둘러야 한다고 조언했다. 박 회장은 “긴급 처방이 필요한 상황이기 때문에 다른 분야로 더 큰 어려움이 번지지 않도록 추경을 빨리 처리해야 한다”고 강조했다.
기업을 옥죄는 국회 입법도 멈춰야 한다고 밝혔다. 박 회장은 “장기 저성장 국면에서 우리 경제가 위기에 빠지지 않으려면 구조개혁을 서둘러야 한다”며 “정치권은 민간 활력을 위축시키는 어리석인 정책과 제도를 더 이상 만들지 말아야 한다”고 말했다.
NBS 조사는 휴대전화 가상번호(100%)를 이용한 전화 면접으로 이뤄졌으며 표본오차는 95% 신뢰수준에서 ±3.1%포인트, 응답률은 22.4%였다. 자세한 내용은 중앙선거여론조사심의위원회 홈페이지를 참고하면 된다.
이 기사의 카테고리는 언론사의 분류를 따릅니다.
기사가 속한 카테고리는 언론사가 분류합니다.
언론사는 한 기사를 두 개 이상의 카테고리로 분류할 수 있습니다.
언론사는 한 기사를 두 개 이상의 카테고리로 분류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