어느 쪽도 승복하겠단 자세 없어
4월 4일 대한민국에 부끄러운 날
무너진 정치, 헌재 결정 이후가 걱정
헌법재판소가 4일 윤석열 대통령 탄핵심판 선고기일을 연다. 탄핵 소추 111일, 변론 절차 종결 38일 만이다. 사진은 용산구 대통령실. 뉴스1 |
<이미지를 클릭하시면 크게 보실 수 있습니다> |
오늘(4일) 오전 11시, 헌법재판소는 윤석열 대통령 탄핵심판을 선고한다. 결정문이 낭독되고 나면 점심을 먹으면서 다들 "대통령이 어쩌고저쩌고" 몇 마디 말을 꺼내볼 것이다. 탄핵 소추 인용 혹은 기각, 또는 각하, 그리고 재판관 의견 몇 대 몇. 누군가는 분개할 것이고 안도할 것이고 또 냉소할 것이다. 다른 누군가는 점심값 내기에 졌다며 투덜댈지 모른다. 국회에서 탄핵소추안을 의결한 지 111일, 헌재 최종 변론 후 38일이 지났으니 아껴둔 말들이 얼마나 많겠나.
자칭 타칭 명석한 헌법학자, 노련한 헌법재판관들이 넘쳐난다. 포장하고, 둘러대지만 꼼꼼히 들어보면 기대와 욕망이 대부분이다. "왜 인용이지?"라는 질문엔 "그게 당연하니까", "왜 기각이지?"란 물음엔 "그러면 안 되니까"라는 답이 돌아온다. 당장 내일 점심 메뉴도 예상 못 하면서 밀실의 결론은 어찌 그리 자신하는지 모르겠다.
출처가 어딘지 모를 정보도 쏟아진다. "○○○ 재판관이 의견을 막판에 바꿨다고 한다." "○○○ 재판관이 ○○○ 재판관과 함께 평의를 주도하고 있다." "○○○ 재판관이 홀로 각하 결정을 내렸단다." "8 대 0, 인용이다." 확신에 찬 이 말들이 진짜라면 헌재는 도청되고 있는 게 분명하다.
못 믿을 얘기가 난무하고, 욕망의 예측이 이성을 흔들지만, 어쨌거나 재판관들 판단은 끝났다. 이제 그 결과를 마주하고 각자의 방식대로 호응만 하면 된다. 분개하든 안도하든 또 냉소하든, 법 테두리 안에서라면 그건 자유다.
여당과 야당은 헌재를 공격하고 겁박하더니, 이젠 광장에 진을 치고 앉았다. 철야 농성에 들어간 민주당 의원들, 그 앞에서 릴레이시위를 펼치는 국민의힘 의원들. '목숨을 걸라'는 그들 선동에 양측 지지자들은 폭풍 전야 속 비장함이 넘친다. "폭력만은 안 된다"고 사정해도 그들은 정당한 저항권이라며 흘려듣기만 한다.
당연히 폭풍은 지나간다. 2017년의 그날도 그랬다. 다만 이 한마디는 전해야겠다. 어느 쪽이든, 어느 영화 대사처럼 "그래도 춤은 추지 마라"는 부탁이다. 2025년 4월 4일, 어쨌든 우리에게는 부끄러운 날 아닌가.
남상욱 엑설런스랩장 thoth@hankookilbo.com
이 기사의 카테고리는 언론사의 분류를 따릅니다.
기사가 속한 카테고리는 언론사가 분류합니다.
언론사는 한 기사를 두 개 이상의 카테고리로 분류할 수 있습니다.
언론사는 한 기사를 두 개 이상의 카테고리로 분류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