컨텐츠 바로가기

[세종로의 아침] 다시, 조족등을 생각한다

0
댓글 첫 댓글을 작성해보세요
주소복사가 완료되었습니다
최근 몇 년 사이 국내 도시마다 경관조명에 관한 관심이 부쩍 늘었다. 도시 경관 자체를 아름답게 꾸미려는 의도도 있을 테고, 야경을 아름답게 가꿔 좀더 많은 관광객을 끌어들이려는 바람도 작용했을 것이다.

도시 조명의 역사는 결코 짧지 않다. 전문가들이 시초로 꼽는 건 프랑스 파리다. ‘태양왕’ 루이 14세(1638~1715) 이전만 해도 파리는 암흑 도시, 범죄 도시였다고 한다. 거리마다 범죄자가 들끓었고 골목은 범죄의 온상이었다.

루이 14세가 왕위에 오른 뒤 파리의 밤 풍경은 확 바뀌었다. 당시 경찰은 좁은 골목길까지 램프를 마련해 온 도시를 밝혔다. 도로에 접한 곳은 밤새 등불을 켜도록 했는데, 당시엔 그것만으로도 획기적인 안전 조치였다. 이 덕에 루이 14세의 치세는 ‘빛나는 시대’로 불렸고, 파리는 ‘빛나는 파리’로 알려지며 당시 유럽 문화의 상징이 됐다. 이후 유럽 각국에서 통치자의 권력을 과시하기 위해 혹은 야간의 안전 확보나 경제 활성화 등을 위해 도시 조명이 활발해졌음은 불문가지다.

도시 조명은 ‘밤 문화’도 불러왔다. 1654년 최초의 카페가 파리에 출현(카페의 원형은 1611년 오스만 제국이 현 튀르키예 이스탄불에 연 ‘카흐베하네’란 견해도 있다)하면서 단순히 휴식과 은둔의 시간이었던 ‘밤’이 자유라는 새로운 개념의 옷으로 갈아입기 시작했다. 사람들은 밤에도 음악과 연극을 즐기며 건강한 밤 문화를 일궈 냈다.

관광산업에서도 야간 경관은 무척 중요하다. 관광객들이 당일치기로 왔다 가기보다 먹고 자고 가도록 붙잡아야 훨씬 많은 수익이 남기 때문이다. 이웃한 일본의 경우 일찍 경관 조명에 눈뜬 나라로 꼽힌다. 숙박객을 유치하는 도시가 그렇지 않은 도시에 비해 6배 이상 수익을 올린다는 당시 관광통계에 따라 지방자치단체마다 숙박 관광객 유치에 열을 올렸고, 1980년대 들면서는 도시 전체를 빛의 연출 대상으로 삼기 시작했다.

야간관광은 세계적인 추세다. 부킹닷컴, 익스피디아 등 세계 유수의 온라인 여행 플랫폼들이 올해 가장 주목할 만한 여행 트렌드로 야간관광을 꼽았다. 우리 역시 몇 해 전부터 관광산업 주무 부처인 문화체육관광부와 한국관광공사가 야간 관광 특화도시를 선정해 예산을 지원하는 등 발 빠르게 대응하고 있다. 많은 국내 지방자치단체들이 야간 관광 콘텐츠 개발에 열을 올리는 것도 이런 이유다.

우리에겐 각국 여행자들이 버킷리스트로 꼽는 오로라나 남미, 서호주, 몽골 등지의 ‘어두운 하늘 여행지’는 없다. 동남아의 맹그로브 숲처럼 반딧불이가 크리스마스트리처럼 반짝이는 자연 현상도 없다. 관광 자원은 부족해도 대신 우리에겐 전북 무주, 경남 함안, 경북 안동 등에 전승돼 온 낙화(落火)놀이 같은, 활용할 만한 여러 인문학적 문화유산이 있다.

조족등(照足燈)도 그렇다. 달항아리를 닮은 등으로, 우리 선조들이 발밑(足)을 비추기(照) 위해 한지로 만들어 썼던 등이다. 꼬박 10년 전, 이 지면에 조족등에 관한 생각을 밝힌 적이 있다. 멋을 알고 이를 생활에 응용했던 선조의 유산을 박물관에 묵힐 게 아니라 현재의 거리를 장식하는 데 써 보자는 내용이었다.

그때나 지금이나 조족등에 대한 사회의 관심은 여전히 멀다. 하지만 장식 수단으로서의 가능성이 충분해 보인다는 생각엔 변함이 없다.

듣자니 무주 낙화놀이의 경우 축제 때만 선보이던 걸 상설화했다고 한다. 낙화 주변으로 부수적인 볼거리도 여럿 가미했다. 그 덕에 훨씬 화사해지긴 했으나, 어둠과 붉은 낙화만 소박하게 어우러졌던 예전의 단아한 풍경은 볼 수 없게 됐다.

관광은 결국 한 나라가 가진 역사와 문화를 대단하게 보이도록 포장하는 것이다. 포장의 기술이 중요하다는 얘기다. 우리에겐 이미 좋은 소재들이 있다. 과대 포장할 것 없이 있는 그대로만 보여 줘도 충분하다. 여기에 뭘 자꾸 덧대면 촌스러워질 뿐이다.

손원천 문화체육부 선임기자

서울신문

손원천 문화체육부 선임기자




    ▶ 밀리터리 인사이드

    - 저작권자 ⓒ 서울신문사 -
    기사가 속한 카테고리는 언론사가 분류합니다.
    언론사는 한 기사를 두 개 이상의 카테고리로 분류할 수 있습니다.

    서울신문 주요 뉴스

    해당 언론사로 연결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