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尹대통령 파면]
경제단체들 "헌재 존중…협치의 리더십 필요"
美 관세 폭탄 등 정부·기업 원팀 대응 기대감
반도체법 등 경제 법안들 조속 처리 목소리도
문형배 헌법재판소장 권한대행을 비롯한 헌법재판관들이 4일 서울 종로구 헌법재판소 대심판정에서 열린 윤석열 대통령 탄핵심판 선고를 위해 입장하고 있다. (사진=연합뉴스) |
<이미지를 클릭하시면 크게 보실 수 있습니다> |
대한상공회의소는 4일 논평을 통해 “(윤 대통령을 파면한) 헌재의 결정을 존중한다”고 밝혔다. 대한상의는 그러면서 “현재 한국 경제는 내수 침체와 주력 산업의 경쟁력 약화, 미국 관세 조치, 보호무역주의 확산 등 대내외적으로 복합적인 도전에 직면해 있다”며 “이제는 사회적 대립과 갈등을 넘어 국정을 조속히 정상화하고 경제 회복과 민생 안정을 위한 노력을 지속할 수 있기를 기대한다”고 했다. 이어 “경제계는 지속 성장을 위해 모든 노력을 할 것”이라고 했다.
한국경제인협회는 “글로벌 산업 대전환의 흐름 속에서 한국 경제는 통상 환경 악화, 주력 산업 부진, 내수침체 등 복합 위기에 직면해 있다”며 “이제는 경기 회복과 민생 경제 활력 제고에 모든 역량을 집중해야 할 때”라고 했다. 한국경영자총협회는 “탄핵 정국으로 야기된 극심한 정치·사회 대립과 갈등을 종식하고 통합과 안정에 역량을 집중해야 한다”며 “국회는 여야를 초월한 협치의 리더십을 발휘하기를 바란다”고 했다.
재계는 일단 극한의 정치 불확실성이 걷혔다는데 주목하는 기류다. 주요 기업들은 미국의 관세 쇼크, 중국의 기술 굴기 등이 겹치면서 반도체, 자동차, 배터리, 스마트폰 등 주력 산업들이 모두 어려움을 겪는 와중에 국내 정치 불확실성까지 덮치면서 혼돈에 빠졌다. 그런데 이날 결정으로 정책 컨트롤타워는 조속히 재건할 수 있다는 기대감이 커졌다.
또 다른 대기업 인사는 “미국의 고관세를 부과하는 것보다 무서운 게 중국의 산업 경쟁력이 이미 한국을 넘고 있다는 점”이라며 “탄핵 선고 결정과 별개로 본연의 기술력을 제고하는 경영 방향은 변함이 없을 것”이라고 했다.
산업계 일각에서는 국정 정상화와 함께 국회가 난항을 겪고 있는 주요 경제 법안들을 조속히 처리해야 한다는 목소리가 나온다. 반도체 산업 경쟁력 강화를 위한 반도체특별법 등이 대표적이다.
이 기사의 카테고리는 언론사의 분류를 따릅니다.
기사가 속한 카테고리는 언론사가 분류합니다.
언론사는 한 기사를 두 개 이상의 카테고리로 분류할 수 있습니다.
언론사는 한 기사를 두 개 이상의 카테고리로 분류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