김선호 대행, 전군 주요지휘관회의 주재
北 ‘청명절 휴무’ 차분…접경작업도 축소
김선호 국방부 장관 직무대행은 윤석열 전 대통령이 파면된 4일 서울 용산 국방부 청사에서 전군 주요지휘관회의를 주재하고 전군에 작전 및 복무기강 강화를 지시했다. 자료사진. [헤럴드DB] |
<이미지를 클릭하시면 크게 보실 수 있습니다> |
[헤럴드경제=신대원 기자] 김선호 국방부 장관 직무대행은 윤석열 전 대통령이 파면된 4일 서울 용산 국방부 청사에서 전군 주요지휘관회의를 주재하고 전군에 작전 및 복무기강 강화를 지시했다.
회의에는 실·국장을 비롯한 국방부 주요 직위자가 참여했으며 김명수 합참의장과 양용모 해군참모총장, 이영수 공군참모총장, 고창준 육군참모총장 직무대리, 주일석 해병대사령관 등 각군 주요 직위자는 화상(VTC)으로 참석했다.
김 대행은 “현 상황의 엄중함을 인식한 가운데 국민의 안전을 보장하고 확고한 대북 군사대비태세를 확립해야 한다”며 “이를 위해 전군에 작전 및 복무기강을 강화하라”고 지시했다.
김 대행은 “작전 및 복무기강 강화를 통해 정치적 중립 의무를 엄정하게 준수한 가운데 계획된 작전활동과 교육훈련을 차질 없이 시행하라”며 “국민과 장병들의 안전을 최우선으로 고려해 지휘관들이 현장에서 안전관리 시스템을 철저히 확인한 후 시행하라”고 강조했다.
군은 헌법재판소의 윤 전 대통령 탄핵심판 선고에 앞서 대북 감시태세를 강화했다.
정찰기와 레이더, 열상감시장비(TOD) 등 감시장비 운용을 확대·강화하는 동시에 주요 지휘관들은 정위치 상태에서 대기했다.
이와 함께 군은 이날 탄핵 찬반 시민들과의 불필요한 접촉 가능성 등 만약의 사태에 대비해 영외 활동을 최소화했다.
한편 이날 청명절 휴무를 맞은 북한은 별다른 움직임을 보이지 않았다.
군 관계자에 따르면 북한군의 남북 접경지역에서의 작업 인원도 이전보다 줄어들었다.
이 기사의 카테고리는 언론사의 분류를 따릅니다.
기사가 속한 카테고리는 언론사가 분류합니다.
언론사는 한 기사를 두 개 이상의 카테고리로 분류할 수 있습니다.
언론사는 한 기사를 두 개 이상의 카테고리로 분류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