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탄핵 정국에 움츠러든 분양시장…분양 시점 연기도
4일 부동산R114에 따르면 4월 전국 아파트 분양 예정 물량은 32개 단지, 총 3만4212가구(임대 포함)로 집계됐다. 서울의 경우 3월에 이어 4월에도 민간 분양 단지가 전무한 것으로 나타났다. 통상 분양 성수기인 3~4월임을 감안했을 때 이례적인 결과다.
지방의 한 아파트 단지 모습 [사진=뉴스핌DB] |
<이미지를 클릭하시면 크게 보실 수 있습니다> |
당초 서울 구로구 '고척 힐스테이트 푸르지오', 성북구 동선2구역 재개발 사업, 강남구 역삼동 '자이더 캐럿 141' 등 3개 단지가 4월 분양에 나설 것으로 점쳐졌지만, 정국 혼란 등의 이유로 5월 이전 공급은 어려운 것으로 알려졌다.
서울 외 지역의 분양 실적도 저조하다. 직방에 따르면 지난 3월 전국 아파트 분양 예정 물량 2만4880가구 중 실제 분양된 물량은 9699가구에 그쳐, 분양률은 39%에 머물렀다. 10가구 중 6가구는 분양되지 못한 셈이다. 2월에 이어 분양 부진이 이어졌다.
서울 여의도 63빌딩에서 바라본 서울 도심 아파트의 모습. [사진=뉴스핌DB] |
<이미지를 클릭하시면 크게 보실 수 있습니다> |
시장 위축의 원인으로는 탄핵 정국으로 인한 정책 불확실성이 꼽혔다. 이에 따라 건설사들은 그간 시장 상황을 더 지켜보며 분양 시점을 고민해 왔다. 한 건설사 관계자는 "탄핵이 현실화되면 대통령 선거가 치러지고 이에 따라 정책 변화 가능성도 커지기 때문에, 건설사 입장에선 분양 계획을 쉽게 확정하기 어려운 상황이었다"고 말했다.
◆ 탄핵 인용에 '눈치보기' 끝?…장기 전망은 '글쎄'
다만 이날 헌법재판소가 윤석열 대통령에 대한 탄핵 소추를 인용하면서, 탄핵 정국으로 인한 불확실성이 일정 부분 해소되는 분위기다. 여기에 차기 대통령 선출을 위한 선거가 임박하면서, 분양시장이 점차 활기를 띨 것이란 기대가 나온다. 중도층 표심을 겨냥한 규제 완화 공약이 나올 가능성도 제기된다.
[서울=뉴스핌] 사진공동취재단 = 문형배 헌법재판소장 직무대행이 4일 오전 서울 종로구 헌법재판소 대심판정에서 윤석열 대통령 탄핵심판 인용 결정문을 낭독하고 있다. 2025.04.04 photo@newspim.com |
<이미지를 클릭하시면 크게 보실 수 있습니다> |
서진형 광운대 부동산학과 교수는 "불확실성이 해소되면서 건설사들도 분양 시도를 본격화할 것"이라며 "대선 정국에서 규제 완화 공약이 발표된다면, 분양시장 활성화로 이어질 수 있다"고 분석했다.
이은형 대한건설정책연구원 연구위원은 "단기적으로는 탄핵 정국으로 미뤄졌던 물량이 시장에 풀리는 수준에 그칠 것"이라며 "장기적인 영향은 제한적일 가능성이 높다"고 전망했다.
박원갑 KB국민은행 부동산수석전문위원도 "건설사들이 서서히 분양 채비에 나설 것으로 보인다"면서도 "아직 장기적인 미래 전망을 말하긴 섣부른 상황"이라고 말했다.
윤수민 NH농협은행 부동산 전문위원은 "서울 분양 시장의 저조는 분양 시점의 연기가 아니라 분양 물량 부족의 문제가 더 크다"며 "분양시장 상황 등을 고려할 때 탄핵 통과에도 공급시장 상황 변화는 크지 않을 것으로 보고 있다"고 설명했다.
저작권자(c) 글로벌리더의 지름길 종합뉴스통신사 뉴스핌(Newspim), 무단 전재-재배포 금지
이 기사의 카테고리는 언론사의 분류를 따릅니다.
기사가 속한 카테고리는 언론사가 분류합니다.
언론사는 한 기사를 두 개 이상의 카테고리로 분류할 수 있습니다.
언론사는 한 기사를 두 개 이상의 카테고리로 분류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