그래픽=박혜수 기자 |
<이미지를 클릭하시면 크게 보실 수 있습니다> |
그래픽=박혜수 기자 |
<이미지를 클릭하시면 크게 보실 수 있습니다> |
[뉴스웨이 임재덕 기자]"피청구인 대통령 윤석열을 파면한다."
4일 오전 11시22분 문형배 헌법재판소장 권한대행이 읽은 탄핵심판 선고 주문이다. 파면 효력은 즉시 발생해 이를 기점으로 윤 대통령은 직위를 잃었다. 윤 대통령이 12·3 비상계엄을 선포한 때로부터 122일 만이다.
박근혜 전 대통령에 이어 헌정사상 두 번째로 현직 대통령 탄핵이 이뤄진 것이다. 여기에는 세계 최고 수준의 우리 IT(정보기술) 인프라가 큰 역할을 했다는 평가다.
파면의 계기가 된 '12·3 비상계엄'은 비교적 늦은 시간인 밤 10시27분 선포됐음에도, 빠르게 온 나라에 퍼졌다.
그 덕에 계엄군의 국회 진입 소식을 들은 국민이 빠르게 여의도로 모일 수 있었고, 무장군인은 시민들의 거센 저항에 부딪혀 국회 진입에 어려움을 겪었다.
마지막으로 계엄령이 선포됐던 45년 전과 같이 불행한 과거가 되풀이되는 것을 막아내는 데 결정적인 역할을 한 것이다.
물론 이 과정에서 트래픽이 평소보다 13배 이상 폭증하면서 일부 서비스가 버벅대는 사고도 있었다. 네이버 뉴스는 계엄 당일 오후 10시 45분께부터 20분가량 댓글을 작성할 수 없었고, 다음 뉴스도 댓글창이 열리지 않았다. 네이버 카페와 다음 카페는 접속이 차단됐다가 오후 11시 30분께부터 풀렸다. 그럼에도 포털과 각종 SNS가 비상계엄을 막아내는 데 핵심적인 역할을 했다는 데는 이견이 없다.
한차례 소동을 겪은 플랫폼 업계는 더 강해졌다. 비상계엄 때와 유사한 트래픽 증가가 예상된 이날(탄핵 선고일)에는 주요 서비스에 대한 트래픽 가용량을 평상시 대비 3~10배 확보하고 모니터링을 강화했다. 그 결과 카카오톡이 4~5분가량 버벅댄 것을 제외하면 별다른 장애 없이 국민의 '알권리'를 지키는 데 기여할 수 있었다.
저작권자(c)뉴스웨이(www.newsway.co.kr). 무단전재-재배포금지
이 기사의 카테고리는 언론사의 분류를 따릅니다.
기사가 속한 카테고리는 언론사가 분류합니다.
언론사는 한 기사를 두 개 이상의 카테고리로 분류할 수 있습니다.
언론사는 한 기사를 두 개 이상의 카테고리로 분류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