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김효진 기자(hjkim@pressian.com)]
외신은 윤석열 전 대통령 파면 결정을 한국이 직면한 국내외 문제 해소를 불가능하게 한 정치적 위기 해소로 봤다.
계엄으로 인한 극우의 표층화가 곧바로 가라앉지 않을 것이라는 우려가 여전하지만 곧 치러질 대선으로 보수층 관심사가 빠르게 이동할 것이라는 관측도 나왔다. 법원 습격 등 폭력 행위 분출로 충격을 받은 국민들이 정치적 의사 표현을 꺼리며 표현의 자유가 훼손된 것 또한 지적됐다.
4일(이하 현지시간) <로이터> 통신은 이날 헌법재판소의 "만장일치 판결로 아시아에서 네 번째로 큰 경제국(한국)의 성장이 둔화하는 시점에 도널드 트럼프 미 행정부와의 관계 구축 노력을 어둡게 했던 정치적 위기가 마무리됐다"고 평가했다. 통신은 "윤 전 대통령의 계엄령 선포"가 "수십 년 만에 국가 최악의 정치 위기를 촉발했다"고 설명했다.
미 CNN 방송도 헌법재판소의 결정으로 "트럼프 대통령이 '미국 우선' 의제로 수십 년 간의 외교 정책을 뒤집고 세계 무역 체계를 해체하는 우려스런 상황에서 세계 주요 경제국이자 미국의 핵심 동맹의 지도자가 부재했던 장기간의 위기가 마무리됐다"고 평가했다.
<월스트리트저널>(WSJ)도 "한국 정부가 직면한 위험이 크다"며 트럼프 대통령이 한국의 대미 무역 흑자를 표적으로 삼고 있고 주한미군 주둔 비용에 대해서도 반복적으로 불만을 표시하고 있다고 짚었다.
트럼프 대통령이 2일 한국, 일본, 중국 등 동북아 국가에도 무거운 관세를 부과한 가운데 영미권 외신은 지난 주말 있었던 한·중·일 경제장관 회담을 상기시키며 한국과 일본이 미국이 견제하는 중국과 경제적으로 더 가까운 관계를 맺을지 주목하고 있다.
관련해 <워싱턴포스트>(WP)는 다음 대선에서 민주당이 집권하게 된다면 이러한 변화가 더 두드러질 것으로 전망했다. 신문은 민주당이 "안보를 위해 의존하는 미국과 가장 큰 교역 상대방인 중국과의 사이에서 보다 '균형 잡힌' 접근"을 선호한다며 트럼프 대통령이 '상호관세'를 부과한 시점에서 이러한 접근 방식이 "새로운 탄력"을 얻을 수 있다고 봤다.
외신은 계엄령으로 인해 극우 세력이 표면으로 튀어 나왔고 윤 전 대통령 파면으로 이들이 즉시 가라앉지 않을 것을 우려했다. <워싱턴포스트>는 백우열 연세대 정치학 교수가 최근 시위에서 전투적 모습을 보이는 극우 집단이 등장하는 등 윤 전 대통령을 지지하는 보수 운동 구성에 눈에 띄는 변화가 있었다고 지적했다고 전했다. 백 교수는 신문에 "탄핵이 인정되더라도 이번에 등장한 소위 극우 단체 혼란은 계속될 것"이라고 분석했다.
국민들이 윤 전 대통령 지지자들의 법원 습격 등 폭력적·극단적 행위까지 목도하며 정치적 의사 표현을 두려워하게 됐다는 우려도 인다. BBC는 이날 한국 전역의 직장인들이 업무를 멈추고 헌법재판소 판결을 지켜보고 있었지만 분위기는 억눌린 모습이었다고 설명했다.
한 직장인은 방송에 "만장일치로 윤 전 대통령 탄핵이 인용됐을 때 몇몇 사람들이 '그럴 줄 알았다'고 말했"지만 "정치적 분열이 너무 극단적이어서 사람들은 최근 정치적 견해를 표현하는 걸 주저하게 됐다"고 말했다. 이 직장인은 "그게 우리 모두가 책상 앞에서 판결을 보면서 그저 조용히 앉아 있는 이유"라고 설명했다.
다만 <파이낸셜타임스>(FT) 일부 분석가들이 우파의 분노는 제한적일 수 있으며 관심은 빠르게 우파의 새 지도자가 누가 될 것인가로 옮겨갈 수 있다고 전망하고 있다고 짚었다.
▲ 4일 오전 세종시 한 고등학교에서 학생들이 '윤석열 대통령 탄핵 심판 선고' 생방송을 지켜보고 있다. ⓒ연합뉴스 |
<이미지를 클릭하시면 크게 보실 수 있습니다> |
[김효진 기자(hjkim@pressian.com)]
- Copyrights ©PRESSian.com 무단전재 및 재배포금지 -
이 기사의 카테고리는 언론사의 분류를 따릅니다.
기사가 속한 카테고리는 언론사가 분류합니다.
언론사는 한 기사를 두 개 이상의 카테고리로 분류할 수 있습니다.
언론사는 한 기사를 두 개 이상의 카테고리로 분류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