왜 베토벤인가 / 노먼 레브레히트 지음 / 장호연 옮김 / 에포크 펴냄
여전히 굳건한 클래식의 ‘영웅’
인간 베토벤의 삶 속 100가지 장면
여전히 굳건한 클래식의 ‘영웅’
인간 베토벤의 삶 속 100가지 장면
‘베토벤은 저리 치워!(Roll Over Beethoven)’. 1963년 영국 록밴드 비틀스 2집에 실린 이 노래는 흥겨운 기타 전주로 몸을 들썩이게 한다. 전설적 로큰롤 기타리스트 척 베리가 지은 후 비틀스를 비롯한 많은 가수가 ‘베토벤은 저리 치우고 이 노래를 듣자’는 가사를 따라 불렀다. 여기서 중요한 건 두 가지. 노래가 선언하는 대로 대중적 인기 장르는 클래식에서 로큰롤로, 또 오늘날엔 트로트나 K팝 등 다른 장르로 대체됐다는 것, 그러나 베토벤은 여전히 굳건하며 클래식의 대명사로 ‘베토벤’을 명명하는 데 그 누구도 이견이 없다는 것이다.
왜 루트비히 판 베토벤(1770~1827)인가. 영국의 저명한 클래식 음악 평론가인 저자 노먼 레브레히트(77)가 드디어 베토벤 전기를 냈다. 평범한 위인전과는 거리가 멀다. 베토벤의 천재성과 30대에 청력을 잃은 비극, 이를 극복해낸 불굴의 의지 등 교양 상식을 구태여 또 설명하는 책은 아니란 얘기다. 그 대신 베토벤의 삶 속 100가지 장면과 그가 만든 곡들을 퍼즐처럼 꺼내 글 100편으로 소개한다. 한국어 출판본 기준으로 글 한 편당 짧게는 2쪽, 길어야 12쪽(6장) 분량이라 음악을 들으며 읽기에 부담이 없다. 각 장은 시간 순서나 곡 번호 순서를 기계적으로 따르지 않고 ‘인간 베토벤’의 사랑, 고난, 철학 등 주제별로 엮었다.
책은 훌륭한 음악 해설서이자 음반 가이드도 돼준다. 베토벤 음악에 관한 유명 연주자·지휘자의 풍부한 일화와 평론이 하나의 이야기로 유려하게 펼쳐진다. 저자는 캐나다 피아니스트 앤절라 휴잇이 16년에 걸쳐 녹음한 베토벤 소나타 전곡 32곡이 얼마나 감동적인지, 아니 피셔와 글렌 굴드, 유자 왕에 이르기까지 피아니스트들이 얼마나 다르게 같은 곡을 연주해왔는지도 덧붙인다. 각 장에 저자가 엄선한 추천 연주 영상이 QR코드로 첨부돼 있다.
[ⓒ 매일경제 & mk.co.kr, 무단 전재, 재배포 및 AI학습 이용 금지]
이 기사의 카테고리는 언론사의 분류를 따릅니다.
기사가 속한 카테고리는 언론사가 분류합니다.
언론사는 한 기사를 두 개 이상의 카테고리로 분류할 수 있습니다.
언론사는 한 기사를 두 개 이상의 카테고리로 분류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