중대본 제14차 회의…4월 말까지 복구계획 수립
[서울=뉴시스] 고기동 행정안전부 장관 직무대행이 지난 1일 오전 경북도청 재난안전상황실에서 경북·경남·울산 산불대응 중대본 회의를 주재하고 있다. (사진=행정안전부 제공) 2025.04.01. photo@newsis.com *재판매 및 DB 금지 |
<이미지를 클릭하시면 크게 보실 수 있습니다> |
[서울=뉴시스] 고홍주 기자 = 정부가 영남권 산불로 인한 농업 피해 보전을 위해 주요 농작물 복구단가를 현실화하고 농기계 지원을 확대하는 방안을 검토하고 있다.
고기동 행정안전부 중앙재난안전대책본부장은 5일 오전 정부서울청사에서 경북·경남·울산 산불대응 중앙재난안전대책본부(중대본) 제14차 회의를 주재하고 이 같이 밝혔다.
이날 회의에서는 이재민 주거안정대책 지원상황, 피해 근로자·중소기업 지원상황, 해양수산 분야 피해 지원방안 및 산불피해·대피지원 외국인 지원방안 등 세부적인 조치상황을 논의했다.
고 본부장은 "이번 산불로 인해 농업 피해가 컸는데, 주요 농작물 복구단가 현실화, 농기계 지원 기종 확대 등 농작물, 농업시설, 농기계에 대해 지원을 확대하는 방안을 적극 검토하고 있다"며 "피해 어업인들에게는 재해복구비 신속 지원과 함께 경영 자금도 긴급 지원하겠다"고 했다.
또 산불피해로 대피한 이재민 거주와 관련해 "향후 이재민을 위한 영구주택은 정부 부처뿐만 아니라 공공기관의 주택사업까지 연계해 추진하겠다"며 "피해지역의 특성까지 반영한 공동체로 회복될 수 있도록 제도개선, 재정 지원 내용까지 포함한 특별대책을 수립하겠다"고 덧붙였다.
중대본에 따르면 이날 오전 6시 기준 산불로 인한 인명피해는 82명으로 잠정 집계됐다.
부상자는 전날 중상 1명, 경상 5명이 늘어 각각 9명, 42명이 됐다. 이들은 인명피해 집계에 포함되지 않았다가 피해 조사 과정에서 추가 확인된 것으로 전해졌다.
시설 피해는 이날 오전 6시 기준으로 7659곳이다. 전날 오후(7544곳)보다 115곳 늘었다.
대피 중인 주민들은 이날 오전 6시 기준 1972세대 3274명이다.
정부는 이재민에게 응급구호세트, 모포, 쉘터, 생필품·식음료 등 98만4000여점을 지급하고 7944건의 심리지원을 실시했다.
산림청은 산불 피해지역의 산사태 등 2차 피해를 막기 위해 울산광역시 울주군에 '산불피해지 긴급진단팀'을 파견해 우려지역을 점검했다. 위험도 평가에 따라 응급복구가 필요한 지역은 6월까지 복구를 완료하고, 항구복구도 순차적으로 추진할 계획이다.
또 '산림자원의 조성 및 관리에 관한 법률 시행규칙'을 개정해, 임도의 타당성 평가항목에 '재해 안전성'과 '효율성'을 추가해 설계단계부터 재해 예방 기능을 반영하도록 했다.
고 본부장은 "오늘은 절기상 '불을 사용하지 않는 날'이라는 한식이자, 황폐한 산림을 복구하기 위한 제80회 식목일"이라며 "초대형 산불로 지금은 많은 것을 잃었지만, 푸르른 숲으로 변할 것이라는 희망의 새싹이 자라길 기원해본다. 전국적으로 비 소식도 있어 산불 예방과 영농 준비에 반가운 일이 아닐 수 없다"고 했다.
☞공감언론 뉴시스 adelante@newsis.com
▶ 네이버에서 뉴시스 구독하기
▶ K-Artprice, 유명 미술작품 가격 공개
이 기사의 카테고리는 언론사의 분류를 따릅니다.
기사가 속한 카테고리는 언론사가 분류합니다.
언론사는 한 기사를 두 개 이상의 카테고리로 분류할 수 있습니다.
언론사는 한 기사를 두 개 이상의 카테고리로 분류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