4일(현지시간) 로이터통신에 따르면 틱톡의 미국 내 사업권을 미국에 기반을 둔 새로운 회사로 분리하려는 거래가 중단됐다.
<이미지를 클릭하시면 크게 보실 수 있습니다> |
틱톡은 이른바 '틱톡 금지법' 때문에 미국에서 퇴출 위기에 처했다. 이 법은 틱톡의 모회사인 바이트댄스가 미국 사업권을 미국 기업에 매각하도록 규정하고 있다.
법이 정한 매각 시한은 1월 19일이지만, 트럼프 대통령은 틱톡 금지법 시행을 75일간 유예하는 행정명령에 서명했다. 이후 틱톡과 미국 투자자들은 사실상 협상을 마무리했다.
그러나 중국은 트럼프 대통령의 관세 정책 발표 후 이 문제에 대해 미국과 협상을 마치기 전까지 틱톡에 대한 거래를 승인하지 않겠다는 방침을 정했다.
미국 주재 중국대사관도 성명을 통해 "중국은 기업의 정당한 권리와 이익을 존중하고 보호한다. 시장경제의 기본 원칙을 위반하는 행위에 반대한다"고 밝혔다.
중국 정부의 승인 거부 방침에 대해 트럼프 대통령은 소셜미디어를 통해 "중국과 협상을 계속하기를 바란다"며 "중국은 미국의 상호관세에 대해 매우 불만이 많은 것 같다"고 밝혔다.
트럼프 행정부는 중국산 수입품에 대해 34%의 상호관세를 포함해 총 54%의 관세를 부과하겠다는 방침을 밝혔다. 다만 앞서 트럼프 대통령은 틱톡 매각 거래 성사를 위해 중국에 대한 관세를 낮출 의향이 있다고 언급했다. 이와 함께 트럼프 대통령은 틱톡 금지법 시행 유예기간을 추가로 연장하겠다고 밝히기도 했다.
우수연 기자 yesim@asiae.co.kr
<ⓒ투자가를 위한 경제콘텐츠 플랫폼, 아시아경제(www.asiae.co.kr) 무단전재 배포금지>
이 기사의 카테고리는 언론사의 분류를 따릅니다.
기사가 속한 카테고리는 언론사가 분류합니다.
언론사는 한 기사를 두 개 이상의 카테고리로 분류할 수 있습니다.
언론사는 한 기사를 두 개 이상의 카테고리로 분류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