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미지를 클릭하시면 크게 보실 수 있습니다> |
내수 활성화가 위기에 몰린 중국 경제의 탈출구로 부각했습니다.
월스트리트저널은 현지 시간 5일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의 관세 정책이 중국 경제의 최대 과제로 꼽히는 내수 활성화 필요성을 다시 한번 확인했다고 보도했습니다.
중국의 경제는 수출에 의존하고 있습니다.
수십 년간 제조업과 관련 인프라에 막대한 자금을 투자하면서 고속 성장을 구가했습니다.
이는 지난 1997년 이후 가장 높은 비중입니다.
중국 내 제조업체들은 더 이상 미국 시장에서 가격 경쟁력을 유지하기 어려워졌습니다.
일부 중국 업체들은 동남아시아로 공장을 이전했지만, 중국산 부품을 사용하는 경우 고율 관세의 영향을 받을 수 있습니다.
또한 미국발 관세 전쟁이 촉발할 수 있는 글로벌 경기 둔화는 다른 국가들의 중국산 제품 수요도 위축시킬 걸로 보입니다.
중국 경제 전문 리서치업체인 게이브컬 드라고노믹스의 토머스 캐틀리는 "중국 입장에서는 최악의 시나리오"라며 "중국 정책 당국은 경기 부양 조치를 강화해야 한다"고 지적했습니다.
일단 중국은 트럼프 대통령의 관세 부과에 대응해 미국산 수입품에 34%의 보복 관세를 부과하겠다고 밝혔습니다.
중국이 신속하게 보복 조치를 취한 것은 조만간 적극적으로 내수 활성화에 나서겠다는 신호라는 해석도 제기됩니다.
앞서 중국은 지난달 양회에서 올해 GDP 대비 재정 적자 비율을 역대 최고인 4%로 제시하고, 적극적인 재정 정책으로 성장률을 끌어올리겠다는 의지를 밝혔습니다.
또한 중국 당국이 추가로 부양책이나 소비 진작 방안을 발표할 가능성도 있습니다.
물론 중국 당국의 내수 활성화 정책이 어느 정도 효과를 볼지는 미지수입니다.
수십 년간 이어진 고속 성장 이후 부동산 시장 붕괴로 중국인의 자산 가치가 큰 충격을 받았습니다.
실직에 대한 우려와 경기 둔화 탓에 소비자들은 지갑을 닫고, 기업들은 비용 절감에 나서는 분위기입니다.
다만 중국 당국 입장에선 내수 진작 외에 트럼프 대통령의 관세에 대응할 수 있는 수단은 제한적입니다.
중국은 트럼프 1기 때는 위안화를 절하시켜 수출 가격 경쟁력을 높였습니다.
그러나 이번에는 위안화 절하가 트럼프 대통령의 또 다른 공격을 부를 수 있다는 지적입니다.
위안화를 절하할 경우 자본 유출을 유발해 금융시장에 혼란을 줄 가능성도 있습니다.
IMF와 세계은행도 오래전부터 중국에 소비 중심의 경제 구조로 전환할 것을 권고했습니다.
민경호 기자 ho@sbs.co.kr
▶ 네이버에서 SBS뉴스를 구독해주세요!
▶ 가장 확실한 SBS 제보 [클릭!]
* 제보하기: sbs8news@sbs.co.kr / 02-2113-6000 / 카카오톡 @SBS제보
Copyright ⓒ SBS.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 재배포 및 AI학습 이용 금지
이 기사의 카테고리는 언론사의 분류를 따릅니다.
기사가 속한 카테고리는 언론사가 분류합니다.
언론사는 한 기사를 두 개 이상의 카테고리로 분류할 수 있습니다.
언론사는 한 기사를 두 개 이상의 카테고리로 분류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