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종합)
(워싱턴 AFP=뉴스1) 우동명 기자 =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이 10일(현지시간) 워싱턴 백악관에서 열린 각료회의서 “보복 관세를 90일간 유예키로 한 EU는 매우 현명했다”고 밝히고 있다. 2025.04.11 ⓒ AFP=뉴스1 Copyright (C) 뉴스1.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 및 재배포, AI학습 이용 금지. /사진=(워싱턴 AFP=뉴스1) 우동명 기자 |
<이미지를 클릭하시면 크게 보실 수 있습니다> |
미국 트럼프 행정부가 스마트폰, 노트북 컴퓨터, 반도체 등을 '상호관세(reciprocal tariffs)' 부과대상에서 제외하기로 했다. 애플·삼성전자와 같은 기업이 한숨 돌릴 수 있을 전망이다.
11일(현지시간) 블룸버그통신, CNBC 등 외신에 따르면 미 관세국경보호국(CBP)은 스마트폰, 노트북 컴퓨터, 디스크 드라이브, 컴퓨터 프로세서, 메모리 카드, 평면 패널 TV 디스플레이, 태양 전지, SSD(솔리드스테이트드라이브), 반도체 제조 장비 등에 대한 상호관세를 면제하겠다는 입장을 밝혔다.
스마트폰 등을 만드는 'IT 공룡'들이 상호관세로 심각한 타격을 받을 위기에 몰리자 트럼프 행정부가 한 발 물러선 것으로 풀이된다. 댄 아이브스 웨드부시증권 리서치본부 글로벌 기술 책임자는 CNBC에 "대형 기술기업의 CEO들이 상호관세가 시행되면 '아마겟돈'이 될 것이라고 목소리를 높였고, 백악관이 이를 이해한 것으로 보인다"고 설명했다.
외신은 우선 애플에 유리한 조건이 될 수 있다고 평가했다. 미국은 중국에는 125%, 여타 국가에는 10%의 상호관세를 부과하고 있다. 문제는 애플이 자사 제품의 80% 이상을 중국에서 생산하고 있다는 점이다. 아이패드의 80%, 맥 컴퓨터의 50% 이상이 중국에서 생산되는 것으로 알려졌다.
채권 시장의 혼란이 트럼프 행정부의 정책 변화로 이어졌다는 분석 역시 있다. 실제 글로벌 관세 정책의 시행 이후 미 국채 수익률이 급등하고 달러 가치가 급락하는 현상이 관측됐었다. 이에 트럼프 행정부는 지난 9일 중국을 제외한 대부분 국가에 대한 상호관세를 90일 동안 유예하고, 10%의 기본 관세율만 적용하기로 했었다. 이의 연장선에서 스마트폰, 컴퓨터 등에 대한 상호관세 면제가 결정됐을 것이란 해석이다.
최경민 기자 brown@mt.co.kr
ⓒ 머니투데이 & mt.co.kr,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이 기사의 카테고리는 언론사의 분류를 따릅니다.
기사가 속한 카테고리는 언론사가 분류합니다.
언론사는 한 기사를 두 개 이상의 카테고리로 분류할 수 있습니다.
언론사는 한 기사를 두 개 이상의 카테고리로 분류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