소셜미디어(SNS) 플랫폼 스레드의 ‘펭귄 어게인스트 트럼프’ 계정 프로필에는 “‘허드 맥도널드 제도’에 살고 있는 펭귄 무리. 우리가 왜 관세를 물어야 하는지 모르겠다. 우리는 물고기를 좋아하고 파시스트를 싫어할 뿐”이라는 소개글이 담겼다. 스레드 캡처 |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의 무분별한 관세 정책에 맞선 인도양 외딴 섬의 펭귄 계정이 소셜미디어(SNS)에 등장했다. 인도양 남부의 화산섬이자 무인도인 ‘허드 맥도널드 제도’에 10% 기본관세를 부과한 트럼프의 결정 이후, 펭귄을 자처한 네티즌이 유머러스한 반격을 시작했다.
인디펜던트는 소셜미디어(SNS) 플랫폼 스레드에서 ‘펭귄 어게인스트 트럼프’라는 계정이 전 세계 네티즌의 관심을 모으고 있다고 5일(현지시간) 보도했다. 이 계정은 현재 7만 2000명 이상 팔로워를 확보했으며, “우리는 물고기를 좋아하고 파시스트를 싫어한다”라는 도발적인 프로필로 화제를 모았다.
이 계정의 재치 있는 글은 네티즌들 사이에서 폭발적인 반응을 얻었다. 특히나 트럼프 행정부를 겨냥해 “너희가 우리를 추방할 수 있겠어? 우리는 수세기 동안 얼음(ICE)을 견뎌왔다”는 글이 화제가 됐다. 미국 이민세관단속국(ICE)과 얼음(ice)을 언어유희로 엮은 말장난으로 트럼프 행정부를 조롱했다.
이 밖에도 이 계정에는 ‘오늘의 미국 시장’이라는 글과 함께 펭귄이 높은 얼음 절벽 위에서 뛰어 내려 고속으로 수직 낙하하는 인공지능(AI) 영상이 올랐다. 트럼프 행정부의 관세 정책으로 인한 주식 시장 붕괴를 통렬히 풍자했다.
<이미지를 클릭하시면 크게 보실 수 있습니다> |
‘펭귄 어게인스트 트럼프’ 계정에 ‘오늘의 미국 시장’이라는 제목의 AI 영상이 화제를 모았다. 이 영상은 높은 얼음 절벽에서 고속으로 추락하는 펭귄의 모습을 담아 트럼프 행정부의 경제 정책을 풍자했다. 스레드 캡처. |
<이미지를 클릭하시면 크게 보실 수 있습니다> |
미국 미네소타 주지사 팀 월즈는 더욱 날카로운 풍자를 더했다. 그는 SNS에서 “트럼프가 러시아나 중국과 맞서기 어렵게 되자 자신이 이길 수 있다고 생각하는 상대로 ‘섬의 펭귄들’을 선택했다”고 조롱했다.
이 섬은 유네스코 세계자연유산에 등재된 특별한 곳이다. 호주 퍼스에서 출발해 꼬박 2주 동안 항해해야 도달할 수 있으며, 단 한 명의 인간도 살지 않는다. 대신 해안 주변의 습지에는 펭귄과 바다표범, 다양한 바다새들이 서식하고 있다.
그러나 무인도에 부과된 관세 소식이 퍼지자 SNS에서는 “트럼프가 펭귄에게까지 관세 폭탄을 던졌다”, “트럼프는 펭귄도 사람과 동등하게 대우한다”와 같이 비꼬는 댓글이 쏟아졌다.
트럼프 행정부의 관세 공세는 이 섬에만 그치지 않았다. 인구 2000여명에 불과한 호주의 노퍽 섬, 북극 인근 노르웨이의 얀 마옌 섬과 스발바르 제도에도 상호관세가 부과됐다.
김성은 기자
▶ 밀리터리 인사이드
- 저작권자 ⓒ 서울신문사 -
이 기사의 카테고리는 언론사의 분류를 따릅니다.
기사가 속한 카테고리는 언론사가 분류합니다.
언론사는 한 기사를 두 개 이상의 카테고리로 분류할 수 있습니다.
언론사는 한 기사를 두 개 이상의 카테고리로 분류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