미 행정부, 주요국 대상 상호관세…아시아 등 불똥
아시아 공장들, 당장 미국 이전보다 가격 인상 검토
WSJ “美, 中 견제 블록 끊어…국제사회 입지 확대”
지난 2019년 6월 29일 일본 오사카에서 열린 미국과 중국 정상회담에 도널드 트럼프(왼쪽) 당시 미국 대통령과 시진핑 중국 국가주석이 인사하고 있다. (사진=AFP) |
<이미지를 클릭하시면 크게 보실 수 있습니다> |
월스트리트저널(WSJ)은 “수십 년 동안 아시아 공급망을 구축한 회사들은 낮은 마진으로 운영되고 있으며 트럼프 대통령이 자신의 계획을 고수한다고 가정할 때 관세 인상 비용을 전가할 수밖에 없다”고 5일(현지시간) 보도했다.
미국 정부는 지난 2일(현지시간) 주요 무역 상대국에게 10% 이상 상호관세를 부과했다. 중국(34%)을 비롯해 베트남(46%), 태국(36%), 인도네시아(32%), 인도(26%) 등 아시아 신흥국에 높은 관세율이 매겨졌다.
WSJ에 따르면 미국에서 사업하고 있는 호주 보호 장갑 제조업체 앤셀은 지난 4일 관세 상쇄를 위해 가격을 인상할 것이라고 발표했다. 대부분 장갑을 아시아에서 생산하는 앤셀은 미국으로 공장을 이전할 계획이 없다고 전했다.
트럼프 대통령이 협상 여지를 남기면서 당장 공장을 이전하기보다 상황을 지켜보려는 수요도 많다. WSJ는 “많은 업계 관계자는 트럼프 대통령이 국가와 협상해 세금을 낮추거나 인상할 의향이 있을 것이라고 믿으며 기다리고 지켜보는 입장을 취하고 있다고 말했다”고 전했다.
트럼프 대통령도 베트남과 합의에 도달할 수 있다면 관세를 0%로 낮출 준비가 됐다고 밝혀 협상의 여지가 있음을 시사했다.
만약 트럼프 행정부가 지금과 같은 관세율을 유지할 경우 관세율이 낮은 특정국이 상대적으로 유리한 입장에 설 수 있다는 분석이다. WSJ는 “멕시코, 브라질, 인도 같은 국가는 중국의 광대한 공급망을 미국 시장에 연결하는 데 더 큰 역할을 할 것”이라며 “베트남과 캄보디아가 이끄는 아시아의 현재 연결국 역할을 대체하기 위해 투자를 유치할 것”이라고 분석했다.
지금까지 세계 각국이 경제·전략적 블록으로 묶여 중국을 견제했지만 대부분 국가에 대한 미국의 상호관세가 이러한 연결 고리를 끊었다는 것이다. 이에 미국으로부터 관세 타격을 받은 국가들이 중국을 대안으로 삼을 수 있다는 해석이다.
WSJ는 “미국은 중국에 대한 유럽의 경제적 의존도를 낮추기 위해 수년간 노력했지만 관세 전쟁이 터져 유럽과 중국의 교역 증가는 이제 시간문제”라며 “시 주석은 큰 힘을 들이지 않고 서방의 분열을 확인하게 됐다”고 전했다.
이 기사의 카테고리는 언론사의 분류를 따릅니다.
기사가 속한 카테고리는 언론사가 분류합니다.
언론사는 한 기사를 두 개 이상의 카테고리로 분류할 수 있습니다.
언론사는 한 기사를 두 개 이상의 카테고리로 분류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