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분기 망명신청 프랑스 최다…유럽 전체 19%↓
팔레스타인 난민 자발리아 캠프에서 사람들이 식량 지원을 받기 위해 줄을 서고 있다. [AFP] |
<이미지를 클릭하시면 크게 보실 수 있습니다> |
[헤럴드경제=김광우 기자] 유럽 최대 난민 수용국으로 알려진 독일이 수년 만에 망명 신청 1위 자리를 내줬다. 난민이 저지른 강력범죄가 잇따르면서, 포용적 난민 정책을 축소한 영향이다. 이에 유럽 전체에 유입된 난민 수도 줄어들었다.
독일 주간지 벨트암존타크 보도에 따르면 유럽연합(EU) 통계 기준 올해 1분기 독일에 망명을 신청한 난민은 지난해 같은 기간보다 41% 감소한 3만7387명으로 EU 회원국 가운데 3위에 그쳤다.
프랑스(4만871명)와 스페인(3만9818명)에 독일보다 많은 난민이 몰렸다. 난민에 사실상 국경을 걸어 잠그고 있는 헝가리(22명)와 슬로바키아(37명)가 최하위권을 기록했다.
독일 정부는 시리아 내전으로 촉발된 2015년 유럽 난민 위기 때부터 망명자를 대거 받아들였다. 그러나 지난해부터 난민이 저지른 강력범죄가 잇따르자 육상국경을 통제하고 난민 혜택 축소를 검토하는 등 포용적 난민 정책을 사실상 접고 있다.
극우 독일대안당(AfD)은 지난 2월 총선에서 두 번째로 많은 연방의회 의석을 확보했다. 이달 5일 발표된 여론조사기관 인자(INSA) 설문에서는 지지율 24%로 기독민주당(CDU)·기독사회당(CSU) 연합과 공동 1위를 기록했다. AfD는 난민 ‘재이주’를 공식 구호로 내걸고 있다.
유럽은 그동안 가장 많은 난민을 배출한 시리아와 주변 정세에 촉각을 곤두세우고 있다. 각국은 작년 12월 시리아 내전이 끝나자마자 시리아 출신들 망명 심사를 보류하고 과도정부와 난민 송환을 협의 중이다.
올해 1분기 망명 신청자 가운데 시리아 국적자는 1만5138명으로 작년 1분기보다 56% 줄었다. 그러나 실각한 바샤르 알아사드 전 대통령 지지 세력이 여전히 곳곳에서 소요 사태를 일으키고 있다.
이 기사의 카테고리는 언론사의 분류를 따릅니다.
기사가 속한 카테고리는 언론사가 분류합니다.
언론사는 한 기사를 두 개 이상의 카테고리로 분류할 수 있습니다.
언론사는 한 기사를 두 개 이상의 카테고리로 분류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