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대철 헌정회장 인터뷰
“정치경험·경륜 부족 尹, 대화 안 해
민주는 ‘힘의 논리’만… 정치 실종
정당 지도부·의원들 ‘화해 운동’을
민주당부터 양보 모습 보여주길
韓대행, 트럼프 만나 외교력 복원
차기정부선 위상 회복에 힘써야”
헌정회장을 직접투표로 선출한 2009년 이래 첫 민주당계 출신 회장이었던 그는 보수정당 국회의원 출신이 많은 헌정회에서 지난달 연임에 성공했다. 여당일 때도, 야당일 때도 상대 진영 정치인들과 호형호제하며 지내온 포용력 덕분이다.
정대철 대한민국헌정회 회장이 지난 5일 서울 서대문구 봉원동에 위치한 정일형·이태영 박사 기념관에서 인터뷰를 진행하며, 12·3 비상계엄과 탄핵 사태 이후 한국 정치의 재건 방향에 대해 설명하고 있다. 최상수 기자 |
<이미지를 클릭하시면 크게 보실 수 있습니다> |
‘포용의 정치’를 실현해온 정 회장을 만나 헌정 사상 두 번째 현직 대통령 파면이 한국 정치에 남긴 상흔을 치유할 방법을 물었다. 그는 이날 파면된 윤 전 대통령보다도 원내 1당인 더불어민주당을 향해 더 많은 고언을 쏟아냈다.
정 회장은 우리 정치에 ‘새살’이 돋기 위해서는 이제 다수당이 양보의 정신을 갖고 주도적으로 사회 통합에 힘써야 한다고 강조했다.
“정치가 실종된 탓이다. 윤 전 대통령이 집권한 2년 반 동안 민주당 이재명 대표와의 영수회담이 단 한 번뿐이었다. 여야가 대화 없이 그저 싸우기만 한 거다. 윤 전 대통령부터 정치친화적이지 못한 인물이었다. 국회의원 선거 한 번 치러본 적이 없었지 않냐. 정치 경험과 경륜이 너무 부족했다. 스스로가 부족함을 인식하고 경륜이 풍부한 사람들을 기용해 그들에게 항시 자문을 구했어야 하는데 그러지도 않았다. 야당도 정치 실종 상태에 기여하긴 마찬가지였다. 다수결로 밀어붙이는 ‘힘의 논리’만 써댔다. 입법권력을 가진 다수당으로서 아량과 양보의 정신을 앞세웠어야 했다.”
<이미지를 클릭하시면 크게 보실 수 있습니다> |
―실종된 정치를 어떻게 하면 다시 복원할 수 있나.
―개헌만으로 정치 갈등이 해소될 수 있을지 의문이다.
“개헌 말고도 정치권이 해야 할 일이 많다. 정치, 사회, 종교지도자들과 시민사회 대표, 갈등 조정 전문가들이 모두 모인 ‘국민통합을 위한 대타협기구’를 창설했으면 좋겠다. 또 정당 지도부와 평의원들이 모두 나서서 일명 ‘화해의 운동’을 벌이자. 서로를 용서하고, 화해하고, 나아가 인정하는 모습을 국민 앞에 보이자는 거다. 다수당인 민주당 지도부부터 그런 모습을 보여주면 좋겠다. 특히 다수당 원내대표는 상대방을 끌어안고 양보할 줄 알아야 하는 자리다. ‘상대방을 무찌르자’는 이야기만 늘어놓을 게 아니라….”
<이미지를 클릭하시면 크게 보실 수 있습니다> |
―차기 대통령이 추진해야 할 최우선 국정과제는 무엇인가.
<이미지를 클릭하시면 크게 보실 수 있습니다> |
―대통령 권한대행 한덕수 국무총리의 역할도 막중하다.
“한 권한대행이 얼른 미국을 찾아 도널드 트럼프 대통령을 만나길 바란다. 트럼프 대통령은 협상 상대방과 직접 만나서 담판 짓는 걸 좋아하는 사람이다. 한 권한대행이 차기 정부가 들어서기 전까지 정부의 외교력을 최대한 복원해 주길 당부한다. 또한 이제 본격적으로 대선 레이스가 시작되는데, 공정한 선거 관리에 힘써 주길 바란다.”
―계엄과 탄핵 정국을 지나온 대한민국의 미래는 어떤 모습이어야 하나.
이지안 기자 easy@segye.com
ⓒ 세상을 보는 눈, 세계일보
이 기사의 카테고리는 언론사의 분류를 따릅니다.
기사가 속한 카테고리는 언론사가 분류합니다.
언론사는 한 기사를 두 개 이상의 카테고리로 분류할 수 있습니다.
언론사는 한 기사를 두 개 이상의 카테고리로 분류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