44년 된 산불진화헬기 추락 - 6일 오후 3시 41분쯤 대구 북구 서변동 일대 야산에서 산불을 진화하던 헬기가 추락해 있다. 사고 헬기는 44년 된 206L 기종으로 70대 조종사 1명이 숨졌다. 대구 뉴시스 |
<이미지를 클릭하시면 크게 보실 수 있습니다> |
대구에서 산불 진화작업에 투입됐던 헬기가 추락해 70대 조종사 1명이 숨졌다. 지난달 말 경북 의성 산불 현장에서 30년 된 헬기가 추락한 데 이어 이번에도 44년 넘게 운항한 헬기가 추락하면서 항공 진화 체계 전반에 대한 점검이 필요하다는 지적이 나온다.
대구소방안전본부는 6일 오후 3시 41분쯤 북구 서변동 한 야산에 발생한 산불 현장에서 동구청 소속 임차 헬기 1대가 추락했다고 밝혔다. 이 사고로 헬기 조종사 정모(74)씨가 사망했다. 정씨는 경찰청 소속으로 25년간 헬기를 조종하는 등 44년 경력의 베테랑으로 알려졌다. 이 헬기는 산불 현장에서 100m 떨어진 곳에 추락했으며 벨 206L 기종인 것으로 파악됐다. 1981년 제작된 해당 헬기는 담수량 600~800ℓ의 소형 기종이다.
주민들은 헬기 꼬리 날개가 비닐하우스 천에 부딪혀 추락한 것으로 추정했다. 또 주민들이 정씨를 구하려고 애썼으나 헬기 잔해 사이에 끼인 채 의식이 없어 구하지 못했다고 한다. 김영호(70)씨는 “꼬리 날개가 비닐하우스 천에 걸려서 헬기가 반 바퀴 돌았다”며 “(조종사의) 의식이 없었던 데다, 불이 빨리 번져 도저히 꺼낼 수가 없었다”고 전했다.
당시 현장에는 헬기 6대와 진화 장비 37대, 인력 155명이 투입됐다. 소방 당국은 정확한 사고 원인을 조사하고 있다. 산불은 오후 3시 12분쯤 발생해 4시 18분쯤 진화가 완료됐다. 소방 관계자는 “사고 경위와 산불 피해 규모 등을 파악 중”이라고 말했다.
통상 헬기는 운항 기간 20년이 넘으면 ‘경년 항공기’(기령이 일정 기간을 초과한 항공기)로 분류돼 국토교통부가 특별 관리한다. 하지만 도입 헬기의 내구연한을 제한하는 규정은 없다. 또 산불 진화 헬기 조종사 중 90% 이상이 육해공군 출신 퇴역 조종사다.
대구 민경석·김상화 기자
▶ 밀리터리 인사이드
이 기사의 카테고리는 언론사의 분류를 따릅니다.
기사가 속한 카테고리는 언론사가 분류합니다.
언론사는 한 기사를 두 개 이상의 카테고리로 분류할 수 있습니다.
언론사는 한 기사를 두 개 이상의 카테고리로 분류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