챗GPT, 국내 애플 앱스토어서 매출 순위 3위
지난달 말 출시 이미지 생성 기능 인기몰이
오픈AI 챗GPT가 '지브리 밈' 흥행으로 국내 앱 월 이용자 수(MAU) 500만명을 돌파하면서 앱 매출 순위도 덩달아 상승했다. 기자가 직접 찍은 사진을 생성형 인공지능(AI) 챗GPT를 활용해 지브리 스타일로 변경한 모습. /챗GPT |
<이미지를 클릭하시면 크게 보실 수 있습니다> |
[더팩트ㅣ장혜승 기자] 오픈AI 챗GPT가 '지브리 밈' 흥행으로 국내 앱 월 이용자 수(MAU) 500만명을 돌파하면서 앱 매출 순위도 덩달아 상승했다.
7일 모바일인덱스에 따르면 챗GPT 지난달 MAU는 509만명이다. 전달 대비 31.6%, 전년 동기 대비 478.3% 오른 수치다.
챗GPT는 2023년 7월 국내 앱 서비스를 시작한 후 지난달 처음으로 앱 MAU 500만명을 돌파했다. 신규 앱 설치 건수 143만6000여건도 역대 최대치다.
이용자들은 챗GPT로 만든 지브리 화풍 그림을 카카오톡, 인스타그램, 엑스 등 소셜네트워크서비스(SNS)에 게시했다. 국내외 커뮤니티에는 후기와 생성 사례가 빠르게 확산했다. 샘 올트먼 오픈AI 최고경영자(CEO)도 자신의 얼굴을 지브리 화풍을 모사한 그림을 엑스 프로필 사진으로 설정하며 인기몰이를 거들었다.
인기에 힘입어 챗GPT는 양대 앱마켓 매출 순위에서 상위권을 기록했다. 센서타워에 따르면 애플 앱스토어에서 지난 2월1일 기준 앱 매출 21위까지 떨어졌던 챗GPT는 지난달 30~31일 1위로 오른 뒤 현재 3위를 유지하고 있다. 구글 플레이에서도 지난 2월2일 49위에서 지난 5일 9위로 오른 이후 현재 11위로 유지 중이다.
앱 결제를 통한 신규 유료 구독자 수 증가 영향이 있었을 것으로 분석된다. GPT-4o 기반 이미지 생성 기능은 멤버십별로 일일 이용 허용 횟수에 차등을 뒀다. 무료 이용자는 하루에 최대 3개만 생성할 수 있지만 플러스(20달러, 약 2만9000원) 이상 유료 멤버십 구독자에게는 제한이 없다.
챗GPT 구독은 웹 또는 앱 결제로 가능하다. 국내 웹 결제 기준으로는 부가가치세 10%까지 더해 22달러(약 3만2000원)를 내야 한다. 앱 결제 기준 구독료는 원화로 고정된 2만9000원이다. 최근 원화 강세로 환율 영향을 받는 웹 결제보다 앱 결제가 더 유리하다.
발로 뛰는 더팩트는 24시간 여러분의 제보를 기다립니다.
▶카카오톡: '더팩트제보' 검색
▶이메일: jebo@tf.co.kr
▶뉴스 홈페이지: http://talk.tf.co.kr/bbs/report/write
이 기사의 카테고리는 언론사의 분류를 따릅니다.
기사가 속한 카테고리는 언론사가 분류합니다.
언론사는 한 기사를 두 개 이상의 카테고리로 분류할 수 있습니다.
언론사는 한 기사를 두 개 이상의 카테고리로 분류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