유상임 과학기술정보통신부 장관이 7일 세종특별자치시 정부세종청사 기자실에서 '2025년도 과기정통부 핵심과제 3월 실적 및 4월 계획' 을 브리핑 하고 있다./사진=과기정통부 제공 |
<이미지를 클릭하시면 크게 보실 수 있습니다> |
"윤석열 대통령께서 헌정사상 두 번째로 탄핵돼 대선을 2개월 내에 치러야 하므로 제 임기도 2개월 남짓 남은 것으로 예상됩니다. 그렇지만 남은 기간 우리나라의 과학기술 정보통신 분야의 발전은 멈출 수 없고 차질이 생겨서도 되지 않으므로 남은 기간 최선을 다할 것입니다."
유상임 과학기술정보통신부 장관은 7일 정부세종청사에서 올해 핵심과제 브리핑을 열고 "어려운 여건 속에서도 흔들리지 않고 올해 업무계획을 신속하고 차질 없이 이행하고 다음 정부에 이양하도록 하겠다"며 이같이 말했다.
앞서 유 장관은 빠르게 변화하는 글로벌 인공지능(AI) 개발 트렌드를 따라잡기 위해 연내 1만5000개 규모의 GPU(그래픽처리장치)를 확보한다는 목표를 밝혔으나, 탄핵에 따라 이같은 정책들이 동력을 상실하게 된 상황에 직면했다. 이와 관련 유 장관은 "추경이 빨리 진행돼야 한다"며 "올해 한국에 GPU가 하나도 못들어온다면 1년가량 뒤처진 것이 4년 뒤처지는 꼴이 될 것"이라고 우려했다.
도널드 트럼프 미국 행정부가 한국에 25%의 상호관세를 매긴 것에 대해선 "트럼프 2기 행정부가 고급 수학은 아닌 산수 수준의 계산법으로 상호관세를 결정해 조정하는 과정이므로 미국 내에서도 반발이 있다"며 "과기정통부와 관련해선 클라우드, 망 사용료 문제 등의 상황이 있는데, 어떤 것이 국익에 도움이 되느냐, 이런 차원에서 접근해야 한다"고 강조했다.
유 장관은 6세대 이동통신(6G)와 연관된 인공위성 관련 정책에 대해선 "AI 시대에 엄청난 정보를 통신해줄 수 있는 수단이 사실은 없기 때문에 6G 시대로 넘어가야 한다"며 "6G는 5G보다 통신 주파수가 더 고주파로 가고 직진성이 강하므로, 이를 제대로 이용하려면 기지국 숫자가 훨씬 늘어나야 하고, 이것은 감당하기 어렵기 때문에 저궤도 인공위성이 꼭 필요하다"고 말했다.
ⓒ비즈니스워치(www.bizwatch.co.kr) - 무단전재 및 재배포금지
이 기사의 카테고리는 언론사의 분류를 따릅니다.
기사가 속한 카테고리는 언론사가 분류합니다.
언론사는 한 기사를 두 개 이상의 카테고리로 분류할 수 있습니다.
언론사는 한 기사를 두 개 이상의 카테고리로 분류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