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T는 지난 1월 22일 출시한 인공지능(AI) 기반 보이스피싱 탐지 서비스를 통해 2달간 약 160억원 상당의 피해를 예방했다고 7일 밝혔다.
KT는 서비스 개시 후 '주의'·'위험' 등급으로 탐지된 보이스피싱 통화 중 확인 가능한 1528건을 분석했다. 그 결과 392건(25%)이 경찰청의 보이스피싱 블랙리스트 또는 검찰·경찰 사칭 사례로 확인됐다.
정부가 발표한 지난해 보이스피싱 건당 평균 피해액이 약 4100만원이므로, 단순 계산 시 약 160억원 규모의 피해 예방 효과를 거둔 셈이라고 KT는 분석했다. 보이스피싱 통화 탐지 정확도는 90.3%였다. 다만 요금 청구나 수납 관련 정상 통화를 보이스피싱 통화로 잘못 탐지한 사례가 일부 발생했다. KT는 AI 엔진 고도화와 화이트리스트 업데이트를 통해 상반기 내 정확도를 더욱 높일 계획이다.
보이스피싱 의심 번호와 통화한 고객이 해당 URL에 접속한 3667건의 사례를 서울경찰청에 제공했으며, 경찰은 이를 바탕으로 피해자와 직접 연락하거나 대면 접촉해 피해를 사전에 방지할 수 있었다는 것이 KT의 설명이다.
KT AX혁신지원본부장 이병무 상무는 "KT의 인공지능 기술이 실제 보이스피싱 예방에 기여하고 있어 매우 고무적"이라며 "통신사 구분 없이 누구나 무료로 이용 가능한 '후후' 앱을 통해 더 많은 국민들이 피해를 사전에 차단하길 바란다"고 말했다.
구자윤 기자
Copyrightⓒ 파이낸셜뉴스.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이 기사의 카테고리는 언론사의 분류를 따릅니다.
기사가 속한 카테고리는 언론사가 분류합니다.
언론사는 한 기사를 두 개 이상의 카테고리로 분류할 수 있습니다.
언론사는 한 기사를 두 개 이상의 카테고리로 분류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