컨텐츠 바로가기

[뉴스 더] '개헌 난제'에 빠진 민주…서둘러 '선거모드' 전환한 국민의힘

0
댓글 첫 댓글을 작성해보세요
주소복사가 완료되었습니다
[앵커]
조기 대선과 맞물려 38년 만의 개헌이 실제로 가능할지가 정치권의 화두로 떠올랐지만, 민주당 이재명 대표가 권력구조 개편은 대선 이후에 하자는 입장을 밝히면서 현재로선 개헌 논의가 힘을 받긴 어려운 상황입니다. 개헌을 주장했던 이 대표가 이제는 대선이 끝난 뒤 하자고 하는 배경과 속속 출마선언에 나서고 있는 대권 주자들의 움직임까지, 뉴스더 코너에서 정치부 장세희 기자와 더 얘기 나눠보겠습니다. 장 기자, 오늘 이 대표가 의장 제안엔 거부 의사를 밝히긴 했지만, 개헌에 반대한다는 건지 아니라는 건지, 애매하다는 분들도 계시더라고요?

[기자]
그럴 수 있으실 겁니다. 실제로 오늘 이 대표 발언을 하나하나 뜯어보면 직접적으로 '반대한다'는 말은 없습니다. 오히려 "동의한다", "필요하다"는 등의 긍정적인 표현이 많았습니다. 정리를 해드리자면, 물리적으로 매우 어렵긴 하지만 대선과 동시에 개헌 투표, 할 수는 있다, 하지만 하더라도 5·18 정신 수록과 계엄 요건 강화를 담는 수준의 개헌에만 찬성한 겁니다. 개헌의 핵심이죠, 잇단 탄핵과 계엄 사태로 그 한계가 드러난 권력구조 개편 문제는 선거 이후로 넘기자는 겁니다.

[앵커]
이 대표 특유의 모호한 화법이 다시 등장한 것 같기도 한데, 왜 개헌에 반대하느냐는 공세를 피해가기 위한 의도로 봐야겠죠?

[기자]
그렇습니다. 공개 회의 땐 표현이 애매했지만, 비공개회의에선 이 대표가 권력 분산 개헌에 대한 반대 입장을 명확히 했다고 합니다. 특히 이 대표는 "내란사태 해결에 아무 성의도 보이지 않는 국민의힘이 무슨 개헌부터 얘기하느냐"는 반응도 보인걸로 전해졌습니다. 다만 이 대표는 4년 중임제 개헌 등을 공약으로 내세울 가능성이 높아보이는데, 과거 대통령들도 개헌 공약을 내걸었지만 이런저런 이유로 번번이 지켜지지 못했습니다.

[앵커]
비공개 회의 때 했다는 이 대표 얘기, 국민의힘이 정치적 의도로 개헌을 띄운다, 이런 생각을 하는 것 같네요.

[기자]
권력구조 개편이라는 시대적 요구에 부응한다기보단 이재명 대표에게 유리하게 흘러가는 대선 구도를 흔들어보려는 것 아니냐 이렇게 의심하고 있는 듯 합니다. 다만 민주당 내에서도 이 대표를 제외한 대부분의 비명계 주자들은 대선과 동시에 개헌을 하자고 주장하고 있습니다. 이 대표가 말하는 '내란종식'과 개헌이 양자택일의 문제가 아니란 겁니다. 오늘 출마를 선언한 김두관 전 의원도 새로운 7공화국에 맞는 옷을 만드는 게 이번에 정치권이 해야할 일이라고 했습니다.

[앵커]
국민의힘 상황도 보죠. 원래 국민의힘 주자들은 대통령 탄핵이 되면 한동안은 이른바 '애도기간'을 가질 거라는 예측들이 많았는데, 지금 분위기를 보면 오히려 민주당보다도 빨라지는거 같아요?

[기자]
네, 이번주만 4명이 출마 선언을 하는데, 벌써부터 선거 사무실을 열고 실무에 들어간 후보들도 상당수입니다. 여의도의 '대권 명당'으로 불리는 한 빌딩엔 김문수 장관과 유정복 인천시장, 한동훈 전 대표와 홍준표 대구시장 등 국민의힘 주자 4명이 선거 사무실을 계약했습니다.

[앵커]
진짜 명당이라서 그런 건가요, 아니면 다른 이유가 있는 건가요?

[기자]
그런 입소문도 무시할 순 없겠지만 그것보단 현실적 이유가 더 큽니다. 국회 주변에서 빨리 사무실을 계약해야 하는데, 많은 사람들이 오가는데다 단기 임대를 받아주는 건물주가 많지 않다고 합니다. 이러다보니 예전부터 특정 건물에 몰릴 수밖에 없고, 그러다보니 자연스럽게 '명당'이란 별칭도 얻게 된 걸로 보입니다. 어찌됐든 국민의힘으로선 민주당에 비해 숫적으로 많은 후보들의 출마 러시가 침체돼 있는 보수진영의 분위기를 바꾸고 경선 흥행으로 이어질 수 있도록 기대하는 분위기가 많다고 합니다. 당 경선 방식도 이런 점을 감안해 흥행 요소를 고민하는데 신경을 쓰고 있는 걸로 전해졌습니다.

[앵커]
조기대선이 치러질 걸로 보이는 6월 3일까지 57일 남았잖아요. 지금까지와는 다른 움직임이 이어질텐데 잘 취재해주길 바랍니다. 장 기자, 잘들었습니다.

장세희 기자(say@chosun.com)

- Copyrights ⓒ 조선일보 & chosun.com,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

* 뉴스제보 : 이메일(tvchosun@chosun.com), 카카오톡(tv조선제보), 전화(1661-0190)
기사가 속한 카테고리는 언론사가 분류합니다.
언론사는 한 기사를 두 개 이상의 카테고리로 분류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