신병철 감사관이 마산해양신도시 민간복합개발사업에 대한 감사 결과를 발표하고 있다. 창원시 제공 |
<이미지를 클릭하시면 크게 보실 수 있습니다> |
홍남표 전 창원시장이 공직선거법 위반으로 중도 낙마한 가운데 홍 전 시장이 임명한 신병철 창원시 감사관의 거취를 둘러싸고 여야가 공방을 벌이고 있다. 더불어민주당은 '무리하고 편향적 감사의 당사자'로 지목했고, 국민의힘에서는 '감사관 흔들기'를 중단하라고 맞섰다.
더불어민주당 경남도당은 7일 성명을 통해 신병철 감사관의 즉각적인 직위해제를 촉구했다.
민주당 경남도당은 "창원시의 공직기강과 시정의 공정성을 무너뜨린 선두에는 신 감사관이 있다"며 "신 감사관은 지난 2022년 8월에 부임한 이후 지금까지 6개의 대형 감사, 6개의 특정감사를 진행했지만 단 하나의 성과도 내지 못했다"고 지적했다.
또 "무소불위 권력을 등에 업고 공직기강과 공정성을 무너뜨린 책임을 지고 자진 사퇴해야 한다"며 "불법적인 감사로 취득한 증거물이 인멸되지 않도록 증거물을 즉각 압수하고 조속히 직위해제해야 한다"고 요구했다.
민주당 창원시의원단도 신 감사관에 대해 "정치 감사로 시정을 흔들고, 행정을 마비시킨 책임은 결코 가볍지 않다"며 "이들이 자리를 지키는 한 창원시정의 신뢰 회복은 불가능하다"고 맹비판했다.
반면, 국민의힘 시의원들로 구성된 창원시 액화수소플랜트사업 행정사무조사특별위원회 김미나 위원장과 박승엽 부위원장은 이날 기자회견을 통해 창원시 위기를 관리하고 있는 감사관 흔들기를 중단하라고 밝혔다.
이들은 "감사관은 임기가 보장된 개방직 임기제 공무원이며, 남은 임기 동안 이번 사안을 철저히 정리하고 마무리할 의무가 있다"며 "(창원시의) 이번 특정감사는 창원시 행정의 진실을 밝히고 시의 피해를 최소화할 수 있는 유일한 방법"이라고 주장했다. 이어 "감사관은 이번 사안이 마무리되기 전까지 절대 물러나서는 안된다"고 강조했다.
이에 대해, 신병철 감사관은 "창원시 감사관 직위는 공공 감사에 관한 법률과 지방공무원법 등 관련 규정에 따라 공개경쟁을 통해 채용됐으며, 이들 법에 따라 임기가 보장되는 개방형 직위라고 해명했다.
이어 "2022년 8월 1일 발령 이후, 창원시의 장기표류사업의 정상화를 위해 맡은 바 최선 다해 공직생활을 성실히 수행해 왔다"며 "앞으로도 임기 동안 좌고우면하지 않고 창원시정의 정상화를 위해 최선을 다할 예정"이라고 밝혔다.
※CBS노컷뉴스는 여러분의 제보로 함께 세상을 바꿉니다. 각종 비리와 부당대우, 사건사고와 미담 등 모든 얘깃거리를 알려주세요.
- 이메일 : jebo@cbs.co.kr
- 카카오톡 : @노컷뉴스
- 사이트 : https://url.kr/b71afn
이 기사의 카테고리는 언론사의 분류를 따릅니다.
기사가 속한 카테고리는 언론사가 분류합니다.
언론사는 한 기사를 두 개 이상의 카테고리로 분류할 수 있습니다.
언론사는 한 기사를 두 개 이상의 카테고리로 분류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