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앵커 ▶
미국 트럼프 대통령이 중국에 보복관세를 취소하지 않으면 50%의 추가관세를 부과할 거라고 경고했습니다.
그러면서 다른 나라와는 즉시 협상을 시작하겠다고 했는데, 강경방침을 수정할 가능성은 낮아보입니다.
워싱턴에서 김재용 특파원입니다.
◀ 리포트 ▶
중국이 똑같은 34%의 맞불관세 계획을 발표하자 트럼프 대통령이 즉각 추가 압박 조치를 공개했습니다.
중국이 8일, 즉 내일까지 계획을 철회하지 않으면 9일부터 50%의 추가 관세를 부과할 것이라고 으름장을 놨습니다.
[도널드 트럼프/미국 대통령]
"내일 12시까지 그 관세(맞불관세)가 철회되지 않으면, 우리가 이미 부과한 관세에 더해 50% 관세를 더 추가할 것입니다."
중국이 요청한 대화도 취소할거라며 타격은 중국이 받고 있다고 주장했습니다.
반면 회담을 요구한 다른 나라와는 즉각 협상을 시작한다고 언급했습니다.
그러나 협상은 쉽지 않아보입니다.
유럽연합은 차량을 포함한 공산품에 대해 서로 무관세를 적용하자며 협상을 촉구했습니다.
[우르줄라 폰 데어 라이엔/EU 집행위원장]
"우리는 미국과 협상할 준비가 되어 있습니다. 실제로 우리는 공산품(차량 포함)에 대해 상호 '무관세'를 제시했습니다."
미국의 반응은 차가웠습니다.
피터 나바로 백악관 무역·제조업 담당 고문은 관세만이 아니라 농산품 수입 규제도 문제라고 했고, 특히 부가가치세 등 비관세 장벽을 낮추라고 압박했습니다.
반면 유럽연합은 전세계 160개국이 부가세 제도를 운영하고 있다며 체제 변경은 할 수 없다고 선을 그었습니다.
트럼프 대통령은 오전엔 일본 이시바 총리와 25분간 전화협의를 했는데, 회담 직후, 일본이 무역에서 미국을 매우 나쁘게 대했다고 SNS에 또 글을 올리며 강경한 입장을 고수했습니다.
일본은 대규모 협상단을 보내 끈질기게 상호관세 면제를 요청할 계획이지만, 전망이 밝지 않은 셈입니다.
워싱턴에서 MBC뉴스 김재용입니다.
MBC 뉴스는 24시간 여러분의 제보를 기다립니다.
▷ 전화 02-784-4000
▷ 이메일 mbcjebo@mbc.co.kr
▷ 카카오톡 @mbc제보
김재용 기자(jykim@mbc.co.kr)
ⓒ MBC&iMBC 무단 전재, 재배포 및 이용(AI학습 포함) 금지
미국 트럼프 대통령이 중국에 보복관세를 취소하지 않으면 50%의 추가관세를 부과할 거라고 경고했습니다.
그러면서 다른 나라와는 즉시 협상을 시작하겠다고 했는데, 강경방침을 수정할 가능성은 낮아보입니다.
워싱턴에서 김재용 특파원입니다.
◀ 리포트 ▶
중국이 똑같은 34%의 맞불관세 계획을 발표하자 트럼프 대통령이 즉각 추가 압박 조치를 공개했습니다.
[도널드 트럼프/미국 대통령]
"내일 12시까지 그 관세(맞불관세)가 철회되지 않으면, 우리가 이미 부과한 관세에 더해 50% 관세를 더 추가할 것입니다."
중국이 요청한 대화도 취소할거라며 타격은 중국이 받고 있다고 주장했습니다.
반면 회담을 요구한 다른 나라와는 즉각 협상을 시작한다고 언급했습니다.
유럽연합은 차량을 포함한 공산품에 대해 서로 무관세를 적용하자며 협상을 촉구했습니다.
[우르줄라 폰 데어 라이엔/EU 집행위원장]
"우리는 미국과 협상할 준비가 되어 있습니다. 실제로 우리는 공산품(차량 포함)에 대해 상호 '무관세'를 제시했습니다."
미국의 반응은 차가웠습니다.
반면 유럽연합은 전세계 160개국이 부가세 제도를 운영하고 있다며 체제 변경은 할 수 없다고 선을 그었습니다.
트럼프 대통령은 오전엔 일본 이시바 총리와 25분간 전화협의를 했는데, 회담 직후, 일본이 무역에서 미국을 매우 나쁘게 대했다고 SNS에 또 글을 올리며 강경한 입장을 고수했습니다.
일본은 대규모 협상단을 보내 끈질기게 상호관세 면제를 요청할 계획이지만, 전망이 밝지 않은 셈입니다.
MBC 뉴스는 24시간 여러분의 제보를 기다립니다.
▷ 전화 02-784-4000
▷ 이메일 mbcjebo@mbc.co.kr
▷ 카카오톡 @mbc제보
김재용 기자(jykim@mbc.co.kr)
ⓒ MBC&iMBC 무단 전재, 재배포 및 이용(AI학습 포함) 금지
이 기사의 카테고리는 언론사의 분류를 따릅니다.
기사가 속한 카테고리는 언론사가 분류합니다.
언론사는 한 기사를 두 개 이상의 카테고리로 분류할 수 있습니다.
언론사는 한 기사를 두 개 이상의 카테고리로 분류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