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난 7일 경북 청송군 청송읍 부곡리 주왕산 국립공원 초입. 역대 최악의 산불로 유네스코 세계지질공원 지질명소로 꼽히는 '달기약수터'에는 적막감만 흐른다. |
<이미지를 클릭하시면 크게 보실 수 있습니다> |
#따뜻한 4월 초순 정오 무렵 찾은 경북 청송군 청송읍 부곡리. 주왕산 국립공원 초입에 늘어선 음식점들은 전소된 채 개점 휴업 상태에 놓여 있다. 유네스코 세계지질공원 지질명소로 꼽히는 '달기약수터'에는 적막감만 흐른다. 도로 주변부터 산중턱까지 뿌리부터 시커멓게 타오른 소나무들 사이엔 바닥에 깔린 잿더미와 흙먼지만 날리고 있다. 30년된 노후 헬기 1대로 주왕산뿐 아니라 지리산 등 전국 국립공원에서 동시다발한 산불 진화는 물리적으로 불가능하다는 지적이 나왔다.
지난 7일 환경부 기자단은 역대 최악의 산불이 덮친 주왕산 국립공원 산불피해 현장을 찾았다. 지난달 22일 주왕산 국립공원 밖 경북 의성 43㎞에서 성묘객 실화로 발생한 산불은 사흘 뒤인 25일 주왕산 국립공원 내로 확산했다. 국립공원공단 산출 결과 공원 내 산림 3260㏊가 불에 탔다. 화장실 2개소, 지원센터 1개소, 전망데크 3개소, 다목적위치표지판 30개소 등 공원시설물과 탐방로 2개 구간 5.174㎞가 피해를 입었다.
주왕산 산불은 고지대에서 빠르게 확산하며 소화차량이 도달하지 못하고, 가파른 경사에 인력투입도 불가능해 초기 진화가 사실상 불가능했다. 실제 산불 당시 공단은 행정 직원까지 30~40명을 총 동원해 20리터짜리 물통을 메고 산을 오르내리며 잔불을 정리했다. 그러나 고지대에서 확산하는 주불은 헬기 투입을 기다리며 바라만 볼 수 밖에 없었다.
국립공원공단은 현재 대형헬기(쿠메프 KA-32) 1대를 한라산을 제외한 전국 국립공원 산불 진화에 투입 중이다. 1997년 도입된 노후 헬기인 만큼 교체용 예산이 반영됐지만, 주왕산 지리산 등 국립공원 여러곳에서 산불이 동시다발하는 경우 물리적으로 진화가 불가능하다는 지적이다.
김도헌 국립공원공단 경영기획이사는 “차량 진입이 가능한 저지대에서 발생한 산불의 경우에는 고성능 소화차량이 진화에 훨씬 유리할 수 있지만, 능선 위 주불은 헬기가 아니만 잡을 길이 없다”면서 “국립공원은 초기 진압이 중요하고 가장 효과적인 수단은 헬기다. 골든타임을 지키기 위해 권역별 헬기가 항시 대기해야 한다”고 강조했다.
안호경 국립공원공단 주왕산 국립공원사무소장이 7일 주왕산 국립공원 초입 '달기약수터' 앞에서 산불 피해 현황을 브리핑하고 있다. |
<이미지를 클릭하시면 크게 보실 수 있습니다> |
공단은 '심각' 이상의 피해를 입은 부분은 10년이지나도 회복되지 않으면 인위적 복구 절차를 진행할 방침이다. 공단에 따르면 피해 규모는 매우 심각 286㏊, 심각 280㏊에 달한다. 자연회복력이 있는 '경미' 지역은 565㏊다.
명현호 국립공원공단 기후변화센터장은 “불에 탄 소나무는 거의 죽는다. 반면 참나무들은 시간이 지나면 다시 잎이 나고, 죽더라도 옆에서 움싹이 일어나서 다시 재생되는 자연복원이 가능하다”면서 “다만 지역적으로 소나무만 살 수 있는 공간은 결국 소나무 형태로 인공복원해야 할 것”이라고 설명했다.
7일 정오 무렵 찾은 경북 청송군 청송읍 부곡리. 주왕산 국립공원 초입에 늘어선 음식점들은 전소된 채 개점 휴업 상태에 놓여 있다. |
<이미지를 클릭하시면 크게 보실 수 있습니다> |
이준희 기자 jhlee@etnews.com
이 기사의 카테고리는 언론사의 분류를 따릅니다.
기사가 속한 카테고리는 언론사가 분류합니다.
언론사는 한 기사를 두 개 이상의 카테고리로 분류할 수 있습니다.
언론사는 한 기사를 두 개 이상의 카테고리로 분류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