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분기 분양물량 16년 만에 최저
전국 1만2358가구… 전년비 3분의 1
지방 미분양 적체·정책 불확실성에
건설사들 공급 시기 연기 등 관망세
“신축 품귀… 대선 직후 물량 풀릴 듯”
이달 아파트 분양전망지수는 11P↑
경기 북부권에 짓고 있는 아파트 단지를 이달 분양할 예정이었던 A건설사 관계자는 8일 분양 일정 조정 배경에 대해 이같이 설명했다.
서울 남산에서 바라본 아파트 단지 모습. 뉴스1 |
<이미지를 클릭하시면 크게 보실 수 있습니다> |
그는 “서울을 제외하고 전국적으로 분양 시장 침체와 불확실성 때문에 분양 시기를 조율하는 단지가 늘어나게 될 것”이라고 덧붙였다.
여전한 지방 미분양 적체에 전반적인 주택시장 관망세까지 겹치며 분양 업계가 침체를 이어가자 A사처럼 공급 시점을 미루는 사례가 잇따르고 있다. 윤석열 전 대통령 파면으로 치러지는 조기 대선에서 어느 정권이 집권하는지에 따라 부동산 정책이 달라질 수 있다는 점도 새 아파트 공급을 연기하는 요인으로 작용하는 분위기다.
주택사업을 위주로 하는 중견·중소 건설사들일수록 분양 시점에 대한 고민은 더 깊어지는 모습이다. 대한주택건설협회 관계자는 “회원사들이 분양 일정을 다들 미루고 있다”며 “대선 이후 어떻게 될지 모르니까”라고 전했다.
<이미지를 클릭하시면 크게 보실 수 있습니다> |
이 같은 움직임이 커지면서 올해 1분기 전국 아파트 일반분양 물량은 16년 만에 최저 수준으로 떨어졌다. 부동산R114 자료에 따르면 지난 1분기 전국의 일반분양 물량은 총 1만2358가구로, 전년 동기(3만5215가구)의 3분의 1 수준에 그쳤다. 이는 2009년(5682가구) 이후 가장 작은 규모다.
일각에서는 공급 감소가 새 아파트 품귀 현상으로 이어질 가능성을 우려한다. 분양업계 관계자는 “유례없는 공급 가뭄으로 인해 새 아파트를 기다리는 수요층의 선택지가 크게 줄어들었고, 신규 분양 단지에 대한 관심도는 그만큼 증가하고 있다”고 말했다.
전문가들은 올해 상반기 중으로는 비슷한 흐름이 이어질 것으로 보고 있다.
권일 부동산인포 리서치팀장은 “(건설사들이) 대선 직전까지는 관망하면서 물량을 조금씩 내놓을 것 같다”고 관측했다. 김은선 직방 빅데이터랩실 랩장도 “(박근혜 전 대통령 파면과 조기 대선이 있었던) 2017년과 비교해 살펴보면, 대선 직후 공급이 더 진행됐던 이력이 있다”며 “분양을 서둘러 진행해야 하는 사업장이 아니라면 (대선 이후로) 공급을 미루는 경향이 더 클 것”이라고 전망했다.
이강진 기자 jin@segye.com
ⓒ 세상을 보는 눈, 세계일보
이 기사의 카테고리는 언론사의 분류를 따릅니다.
기사가 속한 카테고리는 언론사가 분류합니다.
언론사는 한 기사를 두 개 이상의 카테고리로 분류할 수 있습니다.
언론사는 한 기사를 두 개 이상의 카테고리로 분류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