과거와 다른 관세…'중국'만 아닌 '전세계'가 타깃
'울며 겨자먹기'식 가격방어…90일 이상은 힘들어
올 것이 왔습니다.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이 당선 이전부터 강조해왔던 전 세계 무역국을 대상으로 하는 관세가 9일부터 본격적으로 부과됩니다. 시장에서는 약 6개월 여 동안 '엄포'에 불과할 거라고 봤는데, 결국 현실화 한 거죠.
관세 부과 전부터 다양한 관측이 나왔지만 공통적으로 '암흑기'가 도래할 거라는 전망이 지배적이었습니다. 특히 미국향이 전체 수출에서 상당량을 차지하는 우리나라 기업들도 골머리를 꽤 앓을 수밖에 없습니다.
<이미지를 클릭하시면 크게 보실 수 있습니다> |
관세는 어떻게 부과되나
수입할 때 왜 세금을 붙일까요? 가장 대표적으로 자국 산업을 보호하기 위한 측면이 강합니다.
그럼 관세는 누가 내는 걸까요? 바로 '해당 국가'의 수입업체나 직접 사들인 소비자들이 내는겁니다.
구체적으로 예를 들어볼까요? 우리나라의 A기업이 'B'라는 제품을 미국에 판매한다고 볼게요. A 기업은 미국 내 수입사를 통해 판매하는 것이 아니라 미국 현지법인이 이를 사들여 판매하고 있습니다. 이 때 관세는 A기업의 미국 현지법인이 부담하는 겁니다.
이 제품의 가격이 종전에는 1000원에 수입됐다면 이제 A기업의 미국 현지법인은 1250원에 이를 수입해야 하는 겁니다. 25%의 관세가 붙은 거죠. 동일 사양, 같은 가격의 미국산 경쟁 제품이 있다면 가격 경쟁력을 잃게 되는 구조입니다.
관세로 인한 피해를 최소화 하고 싶으면 "미국에서 생산하면 된다"는 답을 냈습니다. 미국에서 생산하면 수출과 수입이라는 교역이 발생하지 않으니 관세도 부과되지 않는다는 논리입니다.
이번 관세가 무서운 이유
트럼프 대통령 관세 정책의 핵심은 '하나의 국가'만을 대상으로 한 것이 아닌 '전 세계 교역국' 모두를 대상으로 관세를 차등화 했다는 점입니다.
왜일까요? 우리나라의 A 기업이 인건비 절감 등을 이유로 제3국인 B국에 생산거점을 만들고 이를 미국에 판매한다고 예를 들어보죠. 이럴 경우 A기업에는 우리나라에 메겨진 관세가 아닌 B국에 메겨진 관세가 적용됩니다.
지난번 미국과 중국의 무역분쟁 당시처럼 중국에만 대규모 관세를 부과했다면 중국 내 생산거점을 다른 곳으로 옮기면 이를 피할 수 있었지만, 이제는 미국과 교역하는 대부분의 국가에 관세가 부과됐기 때문에 생산시설을 어디로 옮기더라도 관세를 피할 수 없는 셈입니다.
이 때문에 미국 기업인 애플의 아이폰 역시 관세의 사정권 안에 들어가 가격이 폭등할 것이란 전망이 나오는 겁니다. 최근 미국 증권사에서는 생산 과정의 상당부분이 중국에서 진행되는 아이폰의 가격은 3800달러(500만원)까지 올라갈 것으로 예측했습니다.
울며 겨자먹기 '가격 방어' 한계도 분명
이런 가운데 최근 현대차 미국 법인은 오는 6월 2일까지 신차 구매 고객 등에게 기존 가격을 보상한다고 밝혔습니다. 관세로 인해 중간에서 발생하는 비용이 늘어나지만 이를 소비자에게 전가시키지 않겠다는 겁니다. 회사가 손해를 보더라도 가격 경쟁력을 확보하겠단 의미로 볼 수 있죠.
비단 현대차만의 이야기는 아닙니다. 현재 미국으로 수출되는 핵심품목 관련 기업들 역시 관세가 부과되기 시작됐다고 가격 조정에는 나서지 않고 있는 형국이죠.
하지만 언제까지 '울며 겨자먹기' 식의 가격 방어를 장기화 하기는 어려울 거라는 전망이 지배적입니다. 손실이 계속해서 누적되는 구조가 이어지기 때문이죠.
미국에서의 사업을 축소하기도 어렵습니다. 미국은 전 세계에서 중국과 함께 가장 강력한 경제력을 갖추고 있죠. '많이 팔리는 국가'를 포기하기가 쉽지 않죠.
금융투자업계 관계자는 "관세로 인한 손실을 감내하기 어려운 만큼 단기적으로는 실제 제품 판매 가격을 높여야 하는 상황이 올 수 있다"라며 "경기침체가 장기화 하면서 수출기업들이 버틸만한 체력이 얼마 남지 않은 것도 문제"라고 짚었습니다.
해결책은 뭘까요? 원론적으로는 '기술 경쟁력'을 확보하는 게 답입니다. 아무리 비싸도 살 수밖에 없는 제품을 만드는거죠. 하지만 이것이 단기간에 이룰 수 있는 과제도 아니죠. 기업 뿐만 아니라 국가 차원에서의 적극적인 지원도 필요한데 우리나라는 윤석열 전 대통령의 탄핵으로 이를 추진할 만한 중심을 잃은 상황입니다. 국가대 국가의 협상으로 관세를 낮추기 어려운 것도 같은 이유때문에 쉽지 않습니다.
시장에서는 최소 90일, 즉 2분기 동안 어떠한 대응책을 내놓을 지가 관건이라고 봅니다. 관세가 본격적으로 부과되는 이번 분기를 잘 헤쳐나가는 것이 향후 기업들의 향방의 가늠자가 될 전망입니다. 정부가 부재한 2분기, 기업들이 관세에 어떻게 대응해 나갈지 지켜보시죠.
ⓒ비즈니스워치(www.bizwatch.co.kr) - 무단전재 및 재배포금지
이 기사의 카테고리는 언론사의 분류를 따릅니다.
기사가 속한 카테고리는 언론사가 분류합니다.
언론사는 한 기사를 두 개 이상의 카테고리로 분류할 수 있습니다.
언론사는 한 기사를 두 개 이상의 카테고리로 분류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