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미지를 클릭하시면 크게 보실 수 있습니다> |
아이폰 제조 업체 애플 주가가 미·중 관세 전쟁 격화에 또다시 5% 하락 마감했습니다.
뉴욕 증시에서 애플 주가는 전날보다 4.98% 내린 172.42달러에 거래를 마치며 지난해 5월 2일(종가 172.22달러) 이후 11개월 만에 가장 낮은 수준까지 떨어졌습니다.
애플 주가는 트럼프 대통령이 지난 2일 주요 교역국을 상대로 한 상호 관세 발표 이후 전날까지 지난 3일간 19% 급락하며 '닷컴 버블' 붕괴 이후 최악의 하락이란 평가가 나왔습니다.
시가 총액도 2조 5,900억 달러로 줄어들며 마이크로 소프트(MS)에 시총 1위 자리를 내줬습니다.
월가는 MS를 "관세 불확실성에서 비교적 보호받는 기업" 중 하나로 평가했습니다.
이날 애플 주가는 전날보다 약 3% 오른 186.73달러에 거래를 시작해 장중 190달러 선도 회복하는 등 강세를 이어가는 듯했습니다.
하지만 미국이 트럼프의 상호 관세 등에 대한 중국의 보복 관세 조치에 대응해 9일부터 50%의 추가 관세를 부과하기로 하는 등 미국과 중국 간 관세 전쟁이 격화하면서 다시 곤두박질쳤습니다.
여기에 중국의 보복 관세 34% 부과에 맞서 미국이 다시 50%의 추가 관세를 부과하기로 하면서 중국산 제품에 대한 총 관세는 104%로 늘어나게 됐습니다.
이는 아이폰 등 주요 기기 생산에 대해 중국 의존도가 큰 애플에 부담을 가중시킬 전망입니다.
이에 UBS는 지난 7일 아이폰16 프로 맥스의 미국 내 가격이 최대 350달러까지 오를 수 있다고 내다봤습니다.
장중 100달러 선을 회복했던 엔비디아 주가는 1.37% 내린 96.3달러에 거래를 마쳤고, 테슬라는 4.90% 하락한 221.86달러에 마감했습니다.
아마존과 알파벳, 메타 플랫폼 주가도 각각 2.62%와 1.78%, 1.12% 내렸습니다.
세계 최대의 파운드리(반도체 위탁생산) 업체인 타이완 TSMC와 퀄컴 주가도 각각 3.28%와 3.90% 내리는 등 반도체 관련 주도 대부분 하락했습니다.
반도체 관련 종목으로 구성된 필라델피아 반도체 지수도 3.57% 하락했습니다.
다만, 미국의 반도체 설계 기업 브로드컴은 올해 말까지 100억 달러 규모의 자사주 매입 계획을 발표하며 1.23% 올랐습니다.
YTN 이승윤 (risungyoon@ytn.co.kr)
※ '당신의 제보가 뉴스가 됩니다'
[카카오톡] YTN 검색해 채널 추가
[전화] 02-398-8585
[메일] social@ytn.co.kr
[저작권자(c) YTN 무단전재, 재배포 및 AI 데이터 활용 금지]
대한민국 24시간 뉴스 채널 [YTN LIVE] 보기 〉
YTN서울타워 50주년 숏폼 공모전! >
대화로 배우는 이 세상 모든 지식 [이게 웬 날리지?] 〉
이 기사의 카테고리는 언론사의 분류를 따릅니다.
기사가 속한 카테고리는 언론사가 분류합니다.
언론사는 한 기사를 두 개 이상의 카테고리로 분류할 수 있습니다.
언론사는 한 기사를 두 개 이상의 카테고리로 분류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