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김용주 리가켐바이오사이언스 대표 인터뷰
속도전 위해 오리온과 전략적 제휴
추가 펀딩 없이도 R&D 가능해져
내년 파이프라인 5~9개 임상 돌입
2030년까지 5개 상업화 진입 목표
새 먹거리는 '차세대 면역항암제'
<이미지를 클릭하시면 크게 보실 수 있습니다> |
“신약개발은 사람 싸움이자 연구개발(R&D) 싸움이에요. 아직 더 써야 되요. 시가총액이 20조 원 될 때까지 매년 수천억 원씩 R&D 비용을 투입할 겁니다.”
김용주(사진) 리가켐바이오(141080)사이언스 대표는 8일 대전 둔곡동 본사 집무실에서 서울경제신문과 만나 “올해 전임상을 거쳐 내년에 임상시험계획서(IND)를 제출할 파이프라인이 보수적으로 5개, 많게는 9개”라며 “20년 가까이 해온 것처럼 (R&D 비용 마련을 위해) 계속 기술 이전을 해야하고 돈이 들어오는대로 R&D에 재투입할 계획”이라며 이 같이 밝혔다. 그는 이어 “외부(자금) 수혈 없이 R&D를 하고도 수익을 낼 수 있는 회사를 만드는 게 궁극적인 목표”라며 “시총 20조 원 정도 규모가 되면 가능할 것으로 본다”고 설명했다.
리가켐바이오는 R&D를 독하게 하기로 유명한 회사다. 대전 본사 로비에는 김 대표의 경영 철학인 ‘오직 신약개발 만이 살 길이다’라는 문구가 새겨진 세계지도 시계가 걸려 있다. 리가켐바이오는 임직원 181명 가운데 박사 57명을 포함해 R&D 인력이 152명에 달한다. 회사 전체 인력의 85%가 R&D 인력인 셈이다. 신약개발 분야로만 보면 국내 제약·바이오 업계 최대 규모다.
<이미지를 클릭하시면 크게 보실 수 있습니다> |
리가켐바이오가 오리온(271560)에 지분 25.73%를 4698 억원에 매각한 전략적 제휴도 비전2030 조기 달성을 위한 행보다. 김 대표는 “돈으로 시간을 샀다는 것으로 이해하면 된다”며 “오리온과의 전략적 제휴는 탁월한 선택이었다”고 말했다. 치열한 신약개발 경쟁을 위한 시간 싸움이 중요한 만큼 대주주 자리를 넘기고 받은 돈으로 R&D 속도를 앞당길 시간을 샀다는 얘기다.
리가켐바이오는 지난해만 1134억 원을 R&D에 투입했다. 올해도 공격적인 R&D를 위해 지난해 보다 더 많은 자금을 투입할 계획이다. 김 대표는 “다수의 임상 파이프라인을 더 빨리 만들어 치고 나가자는 전략”이라며 “2030년이면 상용화된 파이프라인이 3~4개는 될 것”이라고 밝혔다.
<이미지를 클릭하시면 크게 보실 수 있습니다> |
리가켐바이오는 ADC 플랫폼 ‘콘쥬올’과 ‘LCB14’, ‘LCB84’ 등 다양한 ADC 파이프라인 외에도 새로운 먹거리로 차세대 면역항암제인 ‘LCB39’ 개발에 주력하고 있다. LCB39는 선천성 면역세포 활성화 작용제다. 세포 투과성은 낮추고 암조직 내 침투성과 노출기간은 늘려 효능과 안전성을 모두 확보한 것으로 알려졌다. 김 대표는 리가켐바이오의 미래를 미국의 빅(Big)바이오텍인 길리어드 사이언스, 리제네론이 먼저 간 길에서 찾고 있다. 그는 “(적자가 계속 나도 이들처럼 적어도) 20년은 R&D를 하면서 버텨야 한다”며 “결국은 누가 더 집중해서 기술을 개발하느냐에서 승부가 갈릴 것”이라고 말했다.
대전=김정곤 선임기자 mckids@sedaily.com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이 기사의 카테고리는 언론사의 분류를 따릅니다.
기사가 속한 카테고리는 언론사가 분류합니다.
언론사는 한 기사를 두 개 이상의 카테고리로 분류할 수 있습니다.
언론사는 한 기사를 두 개 이상의 카테고리로 분류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