컨텐츠 바로가기

“엄마! 대학·결혼·내집마련 도와줘”…부모는 ‘끄덕끄덕’

0
댓글 첫 댓글을 작성해보세요
주소복사가 완료되었습니다

[챗GPT를 사용해 제작]

<이미지를 클릭하시면 크게 보실 수 있습니다>



[헤럴드경제=김유진 기자] “사주에서 태어난 시각보다 중요한 것이 ‘문벌’(가문).” 18세기 조선인의 우스개 소리가 다시금 회자되는 시대다. 등록금, 결혼자금, 집값까지 부모 도움 없이 혼자서 해결하기 점점 어려워지자 자식들은 묻는다. “우리 부모는 왜…?” 그런데 정작 부모들의 마음도 같았다. “내가 더 잘해줬어야 했나…”

부모 3명 중 2명 “자녀의 성공·실패, 내 책임”
우리나라 부모 3명 중 2명은 자녀의 성공과 실패가 자신의 책임이라고 느끼는 것으로 조사됐다.

한국보건사회연구원이 9일 발표한 ‘초기 성인기의 부모-자녀 관계와 사회 계층적 차이’ 보고서에 따르면, 지난해 9월 19세부터 34세까지 자녀를 둔 45세부터 69세까지의 부모 1천600명을 대상으로 설문한 결과, 66.9%가 “자녀의 성패에 부모 책임이 있다”고 답했다. 응답자 중 58.1%는 ‘대체로 동의’, 8.8%는 ‘매우 동의’한다고 밝혔다.

책임 의식을 느끼는 비율은 남성(68.5%)이 여성(65.5%)보다 약간 높았고, 연령대별로는 55세부터 59세(70.1%), 학력별로는 대졸 이상(73.6%)에서 두드러졌다. 자산 규모가 클수록 책임감도 높아지는 경향도 나타났다.

부모들 “자식들, 독립적 인생 살아야” 한다더니…돈 얘기에 달라진 부모 맘
대부분의 부모는 자녀와의 관계에서 정서적 독립을 이상적이라고 여겼다. 응답자의 76.2%가 “부모와 성인 자녀는 서로 독립적인 관계여야 한다”고 답했고, “의존적 관계가 바람직하다”는 응답은 13.0%에 그쳤다. ‘부모가 자녀를 지원해야 한다’(7.4%)거나 ‘자녀가 부모를 부양해야 한다’(3.4%)는 응답은 더 낮았다.

하지만 구체적인 지원 항목을 제시하자 분위기는 달라졌다. 부모의 지원이 바람직하다는 응답은 대학 등록금 지원(83.9%), 결혼 비용 지원(70.1%), 취업 전 생계비 지원(62.9%), 주택 구입비용 지원(61.7%), 능력 되는 한 계속 지원(42.1%)로 나타났다.

청년들도 “대학, 취업, 결혼까지 지원 받아야”
같은 연구에서 19세부터 34세까지의 청년 1000명을 조사한 결과, 68.4%가 부모의 대학 등록금 지원을 당연하다고 여겼고, 62.2%는 경제적 자립 전까지 생계 지원이 필요하다고 응답했다. 결혼 비용은 53.4%, 주택 구입비는 45.1%가 부모의 지원이 바람직하다고 답했다. 취업 이후에도 여력이 있다면 부모가 계속 도와야 한다는 응답도 46.3%에 달했다.

부모도, 자식도 표면적으로만 ‘각자도생’을 말한다. 하지만 속내엔 ‘세습 기대’와 ‘세습 책임감’이 기본값이 된 사회다. 계급 고착화는 단어는 이제 학자들의 용어가 아니라, 부모와 자식 모두가 체감하고 있는 현실이 됐다.


기사가 속한 카테고리는 언론사가 분류합니다.
언론사는 한 기사를 두 개 이상의 카테고리로 분류할 수 있습니다.

헤럴드경제 주요 뉴스

해당 언론사로 연결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