컨텐츠 바로가기

북한군 파병 6개월…청년 목숨값으로 군사·경제 이익 챙긴 北

0
댓글 첫 댓글을 작성해보세요
주소복사가 완료되었습니다

총 1만4천여명 전장 투입돼 4천여명 사상…드론전 희생 컸지만 현대전 경험 습득

북러, 혈맹으로 진화…군사협력 가속화·지방공장 등 김정은표 치적사업 재원 확보

연합뉴스

국정원 "북한군 러시아 파병 위한 병력 이동 시작"
(서울=연합뉴스) 국가정보원은 북한이 지난 8일부터 러시아 파병을 위한 특수부대 병력 이동을 시작했다고 밝히며 위성 사진 등 관련 자료를 18일 공개했다. 국정원은 "북한군의 동향을 밀착 감시하던 중 지난 8일부터 13일까지 러시아 해군 수송함을 통해 북한 특수부대를 러시아 지역으로 수송하는 것을 포착, 북한군의 참전 개시를 확인했다"고 설명했다. 사진은 지난 12일 북한 병력 수송 목적 러시아 함정 활동. 2024.10.18 [국가정보원 제공. 재판매 및 DB 금지] photo@yna.co.kr


(서울=연합뉴스) 이은정 기자 = 북한이 러시아를 돕기 위해 우크라이나전에 병력을 보낸 지 6개월이 지났다.

북한은 지난해 6월 러시아와 '포괄적 전략적 동반자 관계 조약'을 체결한 뒤 이를 근거로 불과 4개월 만인 그해 10월 1만명이 넘는 특수부대를 러시아로 파병했다.

북한군은 격전지인 러시아 쿠르스크 전선에 배치됐고, 수천 명의 사상자가 발생했다. 훈련인 줄 알았다는 북한군 포로의 증언은 충격적이다.

북한과 러시아 모두 파병 사실을 공식적으로 인정하지 않는 가운데 자신들이 어디로 향하는지조차 제대로 알지 못했던 애꿎은 북한 청년들만 이역만리에서 목숨을 잃고 있는 것이다.

북한 김정은 정권은 이들이 흘린 피의 대가로 안보·경제 지원을 챙기고 있다.

연합뉴스

우크라이나 정보당국이 전장에서 수거한 북한제 무기
(서울=연합뉴스) 국가정보원은 북한이 지난 8일부터 러시아 파병을 위한 특수부대 병력 이동을 시작했다고 밝히며 위성 사진, 우크라이나 정보당국이 전장에서 수거한 북한제 무기 등 관련 자료를 18일 공개했다. 국정원은 북한군의 러시아 파병과 관련해 "우크라이나 국방정보총국이 전장에서 수거한 북한제 무기를 확인한 결과, 북한이 러시아에 지원한 무기는 122mmㆍ152mm 포탄, 불새-4 대전차 미사일, KN-23 등 단거리 탄도미사일, RPG 대전차 로켓 등이었다"고 덧붙였다. 사진은 우크라이나 군이 획득한 북한제 KN-23 잔해. 2024.10.18 [국가정보원 제공. 재판매 및 DB 금지] photo@yna.co.kr



◇ 총알받이로 내몰린 북한군…드론에 고전했지만 현대전 경험은 위협

합동참모본부는 지난해 10월 1차로 투입된 북한군 1만1천여 명 중 약 4천 명이 죽거나 다친 것으로 파악했다.

드론이 동원되는 현대전에 대한 지식이 없어 전선 투입 초반에 속수무책으로 당한 것으로 보인다. 북한군 포로들도 동료들이 무인기에 대거 희생됐다고 전했다.

파병 북한군이 사실상 '총알받이' 신세였다는 건 북한군 포로의 증언을 통해 확인된다. 이들은 쿠르스크에 도착한 뒤에야 전투 참여 사실을 알게 됐다. 부모 등 가족들도 당연히 이들의 파병 사실을 알지 못하고 있다. 드론 등 현대전에 대한 준비도 사실상 없었다.

초반에 크게 고전하던 북한군은 서서히 드론전에 적응했고 올해 초 3천여명의 증원 전력이 추가 투입된 것과 맞물려 최근에는 전장에서 상당한 기여를 하고 있다는 말도 나온다. 북한군이 드론전을 비롯한 현대전 경험을 쌓은 것은 우리에게 상당한 위협이 될 수 있는 대목이다.

한편 우크라이나군에 생포된 2명의 북한군 가운데 1명이 한국으로 귀순하겠다는 뜻을 밝히면서 신병이 어떻게 처리될지도 관심이다. 정부는 헌법상 우리 국민인 북한군의 한국 송환을 위해 최선을 다 한다는 입장이지만 실현될지는 미지수다.

연합뉴스

붕대감은 북한군 포로 "참전아닌 훈련으로 믿어"…"국정원 통역지원"



◇ 혈맹으로 진화한 북러 관계…파병 대가로 군사협력·경제지원

북러는 파병을 계기로 '혈맹' 수준으로 밀착하고 있다. 외교뿐 아니라 경제, 문화, 보건 등 여러 방면에서 고위급 교류도 다방면으로 진행하고 있다.

김정은 국무위원장과 블라디미르 푸틴 러시아 대통령 간 정상회담도 양국을 오가며 최근 2년간 연속으로 열렸다. 올해 김 위원장이 푸틴 대통령과 회담을 위해 모스크바를 방문할 가능성도 크다.

북러 양국이 북한군 파병을 공식 인정하지 않고 있는 만큼 이에 대한 반대급부도 공식 확인되지는 않고 있다.

그러나 군사·경제적으로 상당한 대가가 지급되고 있을 것으로 보인다.

러시아가 북한에 평양 방공망 보강 장비와 대공 미사일을 지원했다고 신원식 국가안보실장이 밝히기도 했다.

특히 원자력추진 잠수함에 탑재될 소형 원자로, 정찰위성 관련 기술, 대륙간탄도미사일(ICBM) 재진입 기술 등 첨단 군사기술이 북한으로 넘어갈 수 있다는 우려도 적지 않다. 하나같이 우리 안보엔 치명적인 사안들이다.

러시아는 대북 제재로 어려움을 겪고 있는 북한 경제에도 동아줄일 것으로 보인다.

북한은 전국 각지에 공장을 짓고 있고 오랫동안 진척이 없던 평양종합병원이나 원산 갈마해안관광지구 오픈을 눈앞에 두고 있는 등 '김정은표 치적사업'에 최근 속도를 내고 있는데 그 배경엔 러시아의 도움이 자리하고 있다는 분석이다.

홍민 통일연구원 선임연구위원은 "사상자가 발생한 문제를 제외한다면 북한은 파병으로 국제적 영향력과 전략적 지위를 일정 부분 제고하는 효과를 거뒀다고 볼 수 있다"고 분석했다.

연합뉴스

푸틴 선물 승용차 운전하는 김정은
(평양 조선중앙통신=연합뉴스) 김정은 북한 국무위원장이 푸틴 러시아 대통령과 금수산영빈관 정원구역에서 시간을 함께 보내며 친교를 다졌다고 조선중앙통신이 20일 보도했다. 푸틴 대통령이 김 위원장에게 선물한 아우루스 차량을 서로 번갈아 몰며 영빈관 구내를 달렸다. 김 위원장은 승용차의 성능을 높이 평가하며 사의를 표했다고 전했다. 2024.6.20 [국내에서만 사용가능. 재배포 금지. For Use Only in the Republic of Korea. No Redistribution] nkphoto@yna.co.kr


ask@yna.co.kr

▶제보는 카카오톡 okjebo
▶연합뉴스 앱 지금 바로 다운받기~
▶네이버 연합뉴스 채널 구독하기
<저작권자(c) 연합뉴스,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
기사가 속한 카테고리는 언론사가 분류합니다.
언론사는 한 기사를 두 개 이상의 카테고리로 분류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