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피해자 진술이 평가되고 기록될 기회 보장돼야"
고소인 "이대로 종결 원치 않아…바라만 보는 상황 참담해"
한국성폭력상담소와 한국여성의전화가 9일 오전 서울 종로구 서울경찰청 앞에서 기자회견을 열고 고(故) 장제원 전 국민의힘 의원 성폭력 사건 수사 결과를 발표할 것을 촉구하고 있다. 2025.4.9/뉴스1 박혜연 기자 |
<이미지를 클릭하시면 크게 보실 수 있습니다> |
(서울=뉴스1) 박혜연 기자 = 여성단체가 경찰에 고(故) 장제원 전 국민의힘 의원의 성폭력 의혹 사건의 수사 결과를 발표하라고 촉구하며 1만여 명의 긴급 연서명을 탄원 형식으로 제출했다.
한국성폭력상담소와 한국여성의전화는 9일 오전 서울 종로구 내자동 서울경찰청 앞에서 기자회견을 열고 "장 전 의원이 사망했더라도 상당 부분 진행된 경찰 수사 결과가 반드시 발표돼야 한다"며 "피해자와 뜻을 함께하기 위해 지난 7일 저녁부터 36시간 동안 총 1만 1626건의 개인과 단체의 연서명이 모였다"고 밝혔다.
장 전 의원의 고소인 A 씨를 대리하는 김재련 법무법인 온세상 변호사는 "피해자가 사건 발생 직후 해바라기센터에 가서 응급키트로 증거물을 채취했는데 속옷에서 남성 DNA가 나왔다는 국과수(국립과학수사연구원) 감정 결과가 나왔다"면서 "그것이 장 전 의원의 DNA와 일치하는지 여부에 대한 조사만을 남겨둔 상태에서 장 전 의원이 극단적 선택을 했다"고 말했다.
김 변호사는 "장 전 의원이 사망한 사실을 알게 된 후 피해자가 한 말은 '거의 10년을 고통스럽게 참아 왔는데 이런 선택은 참 이기적이고 화가 난다'는 것이었다"며 "이 사건의 실체적 진실이 묻히지 않고 가해자 사망이 범죄사실 판단 유무에 장애가 돼서는 안 된다는 새로운 선례가 됐으면 한다"고 강조했다.
고소인 A 씨는 이날 기자회견에 참석하지 않았지만 최란 한국성폭력상담소 부소장이 A 씨의 입장문을 대독했다. A 씨는 "저는 이 사건이 이대로 종결되는 것을 절대로 원하지 않는다"며 "가해자가 선택한 도피성 죽음은 처벌받기 두려워 스스로가 선택한 삶의 마무리로 죄를 받은 것도, 면죄부를 받은 것도 아니다"고 강조했다.
장 전 의원은 2015년 부산 모 대학 부총장 시절 당시 비서였던 A 씨를 상대로 성폭행을 한 혐의를 받는다. A 씨는 지난 1월 장 전 의원을 준강간치상 혐의로 경찰에 고소했다.
장 전 의원은 사건 직후 A 씨에게 반복적으로 전화와 문자를 발송하고, 2000만 원이 들어 있는 돈봉투를 건넸다는 의혹도 받는다.
장 전 의원은 자신의 페이스북을 통해 혐의를 강하게 부인하다가, A 씨가 지난달 31일 사건 발생 당시 호텔에서 촬영한 영상을 언론을 통해 공개하자 그날 밤 11시 45분쯤 서울 강동구의 한 오피스텔에서 유서와 함께 숨진 채 발견됐다.
Copyright ⓒ 뉴스1.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 및 재배포, AI학습 이용 금지.
이 기사의 카테고리는 언론사의 분류를 따릅니다.
기사가 속한 카테고리는 언론사가 분류합니다.
언론사는 한 기사를 두 개 이상의 카테고리로 분류할 수 있습니다.
언론사는 한 기사를 두 개 이상의 카테고리로 분류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