호 득 퍽 베트남 부총리/베트남 정부공보 |
<이미지를 클릭하시면 크게 보실 수 있습니다> |
아시아투데이 정리나 하노이 특파원 =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으로부터 46%의 초고율 상호관세를 부과받은 베트남이 협상에 나선 가운데, 미국을 방문 중인 호 득 퍽 베트남 부총리가 오는 9일(현지시간) 스콧 베센트 미국 재무장관과 보잉·애플·스페이스X 등의 기업 임원들과 회담할 예정이다.
9일(현지시간) 로이터통신은 미국을 방문 중인 퍽 부총리가 이날 오후 4시(한국시간 10일 오전 6시) 워싱턴에서 베센트 재무장관과 45분간의 회담을 가질 예정이라고 보도했다. 통신은 미국 고위 당국자가 수요일 회담이 예정되어 있음을 확인했으나 구체적인 내용이나 주제는 밝히지 않았다면서 이 일정이 변동될 수 있다고도 덧붙였다.
워싱턴에서 베트남 대표단과 접촉한 한 소식통은 로이터에 이번 회담의 목적이 "베트남에 대한 관세 조정 가능성을 논의하기 위한 협의 일정을 조율하는 데 있다"면서, 이번 회담에서 당장의 관세 유예 조치는 이루어지기 어려울 것이라고 전했다.
퍽 부총리는 이 밖에도 10일 일론 머스크의 항공·우주기업인 스페이스X, 애플 임원들과도 회담을 가질 예정이다. 또 인텔·코카콜라 등 베트남 진출한 다른 미국 기업들과도 만날 예정이다.
하지만 트럼프 의 '책사'인 피터 나바로 백악관 무역·제조업 담당 고문은 베트남의 '0% 관세' 제안에도 "아무런 의미가 없다"며 냉랭한 태도를 보이고 있다. 그는 지난해 베트남의 대미 무역 흑자가 1235억 달러(183조 1752억원)에 달하는 등 여전히 무역 불균형이 크다는 점을 지적했다. 아울러 베트남이 중국산 제품의 환적지로 쓰이고 해산물과 기타 상품들의 덤핑과 지적 재산권 문제 등 우려할 점이 많다고 지적했다.
베트남은 지난 2일 트럼프 대통령이 발표한 상호관세에서 46%의 초고율 관세를 부과 받았다. 이후 서열 1위인 또 럼 공산당 서기장이 트럼프 대통령과 전화통화를 하며 1~3개월 간의 관세 유예와 "대미 관세를 0%로 낮출 준비가 되어있고 미국 역시 베트남에 동일한 관세를 적용해줄 것"을 요청했다. 행정부를 이끌고 있는 팜 민 찐 베트남 총리도 45일의 관세 유예와 협상을 요청했다.
ⓒ "젊은 파워, 모바일 넘버원 아시아투데이"
이 기사의 카테고리는 언론사의 분류를 따릅니다.
기사가 속한 카테고리는 언론사가 분류합니다.
언론사는 한 기사를 두 개 이상의 카테고리로 분류할 수 있습니다.
언론사는 한 기사를 두 개 이상의 카테고리로 분류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