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난 3월 홍콩 콰이청항에 수출 컨테이너가 대기하고 있다. 로이터 연합뉴스 |
<이미지를 클릭하시면 크게 보실 수 있습니다> |
미국이 9일(현지시간) 중국에 84%의 상호관세를 추가 부과하고, 중국도 동률의 보복 관세를 부과하면서 양국이 관세를 두고 벌이는 ‘치킨 게임’이 세계 경제에 충격파를 가져올 가능성이 한층 커졌다.
미국 국토안보부 산하 관세국경보호청(CPB)에 따르면 9일 0시1분(한국시간 9일 오후 1시1분) 모든 중국산 제품에 84%의 추가 관세가 발효됐다. 도널드 트럼프 미 대통령이 지난 2일 대중 상호관세 34%를 예고하자 중국이 34% 보복관세 방침을 천명했고, 이에 트럼프 대통령이 세율을 50%포인트 더 올렸다. 지난 2월과 3월 펜타닐 (마약성 진통제) 문제 명목으로 중국에 부과된 기존 20% 관세를 합하면 트럼프 2기 행정부 출범 후 미국이 중국에 물린 추가 관세는 총 104%다.
중국도 10일 12시1분부터 모든 미국산 제품에 84%의 관세를 부과하고 희토류 7종의 수출을 제한한다. 앞서 중국은 미국이 두 차례 10%씩 관세를 부과했을 때 농산물과 석탄, 대형 픽업트럭 등에 10~15%의 관세를 부과했다. 중국의 추가 관세 부과로 미국의 대중국 주력 수출품인 대두류의 관세는 49%로 올라간다. 중국 외교부는 “중국을 향한 일방적 괴롭힘이 계속된다면 끝까지 맞서 싸우겠다”고 밝혔다.
미·중이 양보 없이 세율을 올리는 악순환은 글로벌 제조업 전반의 공급망 혼란을 초래할 것으로 예상된다. 파이낸셜타임스(FT)는 전기차에 사용되는 리튬이온 배터리를 예로 들며 “관세가 100%를 넘더라도 중국이 여러 분야에서 우위를 점하고 있기 때문에 단기적으로는 (미국) 수입업체가 (중국) 공급업체를 바꾸기 어렵다”고 전했다. 리튬 이온 배터리는 중국이 전 세계 시장의 75%를 차지하며, 가격은 미국산보다 20%, 유럽연합(EU)산보다 30% 이상 저렴하다.
중국 역시 수출이 악화해 경제에 큰 타격을 입을 것으로 관측된다. 중국 경제매체 차이신은 “의류, 가구, 신발 기업의 경우 총 관세율이 79%에 달할 수 있고 이는 대부분 업체에 감당하기 어려운 수준”이라며 “수출업체들의 마진이 10~15%에 불과하다는 점을 감안하면 최종 관세율이 54%든 79%든 (이윤을 남기지 못한다는 점엔) 큰 차이가 없다”고 전했다.
미국 시장을 잃은 중국산 제품이 밀려들어 자국 산업을 초토화할 것이라는 공포감도 커지고 있다. FT는 값싼 중국산 제품의 유입으로 인도네시아 섬유 산업에서 수십만 개의 일자리가 사라질 수 있다고 현지 관계자들을 인용해 전했다. 오는 7월 중국과 정상회담을 하기로 한 EU는 중국산 제품이 유럽에 밀려드는 걸 막고자 긴급 관세 부과를 검토 중인 것으로 알려졌다. 중국의 우방인 러시아도 최근 자국 시장의 3분의 2를 장악한 중국산 자동체에 관세를 부과했다. 미국을 제외하고서도 관세 보복전이 벌어지며 세계 무역질서가 혼란에 빠질 가능성이 우려된다.
중국은 EU, 동남아시아국가연합(아세안) 등과의 교역을 늘리며 관세 문제 공동대응을 모색할 것으로 보인다. 시진핑 중국 국가주석은 8~9일 베이징에서 핵심 지도부가 모두 참석한 중앙주변공작회의 연설에서 “주변국과 상호신뢰 강화를 강화하고 공급망을 확대할 것”을 주문했다고 신화통신이 전했다.
선명수 기자 sms@kyunghyang.com
▶ 주 3일 10분 뉴스 완전 정복! 내 메일함에 점선면 구독
©경향신문(www.khan.co.kr),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이 기사의 카테고리는 언론사의 분류를 따릅니다.
기사가 속한 카테고리는 언론사가 분류합니다.
언론사는 한 기사를 두 개 이상의 카테고리로 분류할 수 있습니다.
언론사는 한 기사를 두 개 이상의 카테고리로 분류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