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앵커]
서울시 조사 결과, 시민들이 인식하는 노인의 기준 나이는 법정나이 보다 5살 높은 약 70살부터로 나타났습니다.
10명 중 9명은 정년 연장이 필요하다고 답했는데요.
전문가들은 비상계엄으로 중단된 노동 문제 논의에 속도를 내야한다고 보고 있습니다.
이동훈 기자입니다.
[기자]
법정 나이와 상관 없이, 몇 살부터 노인이라고 생각하는지를 시민들에게 물어봤습니다.
<최민수 / 서울 동작구> "최근엔 한 70세 이상이 돼야지 노인이라고 할 수 있지 않겠나…과거보다 결혼 시기도 많이 늦춰졌고 수명도 많이 늘어나고…"
서울시의 조사 결과도 비슷했습니다.
시민 5천명을 대상으로 조사한 결과 노인 연령 기준은 평균 70.2세였습니다.
70~74세라는 응답이 절반에 달해 가장 많았고 75세 이상이라는 답변도 약 25%를 나타냈습니다.
시민들이 생각하는 은퇴 시기도 점점 늦춰지는 추세입니다.
적정 은퇴 시기를 65~69세로 생각하는 비율은 5년 전에 비해 10% 가까이 뛴 40%를 기록했습니다.
고령화에 따른 정년 연장 필요성에 동의한다는 응답도 90%에 육박했습니다.
이처럼 현행 60세인 정년을 연장해야한다는 여론이 높아지고 있지만 청년 일자리가 줄어들 수 있다는 우려도 만만치 않습니다.
임금체계 변화 없는 정년 연장에 고령자 고용이 1명 늘 때 청년은 1명 줄었다며, 정년 연장 보다는 퇴직 후 재고용이 바람직하다는 한국은행 연구도 있습니다.
전문가들은 비상계엄 이후 멈춘 사회적 대화를 재개해 고령층과 청년의 특성에 맞는 일자리를 구분해 정책을 개발해야한다고 입을 모읍니다.
<김성희 / 고려대 노동전문대학원 교수> "하는 직무와 숙련의 정도가 달라서, 그 다음에 선호하는 일자리 성격도 차이가 나서 충돌이 생각한 만큼 크게 나지 않는다…"
정년연장 문제는 노인연령 상향이나 연금 수령 연령 문제와도 맞닿아있는 만큼 사회적 합의를 바탕으로 논의가 이뤄져야한다고 덧붙였습니다.
연합뉴스TV 이동훈입니다.
연합뉴스TV 기사문의 및 제보 : 카톡/라인 jebo23
이동훈(yigiza@yna.co.kr)
서울시 조사 결과, 시민들이 인식하는 노인의 기준 나이는 법정나이 보다 5살 높은 약 70살부터로 나타났습니다.
10명 중 9명은 정년 연장이 필요하다고 답했는데요.
전문가들은 비상계엄으로 중단된 노동 문제 논의에 속도를 내야한다고 보고 있습니다.
이동훈 기자입니다.
[기자]
<최민수 / 서울 동작구> "최근엔 한 70세 이상이 돼야지 노인이라고 할 수 있지 않겠나…과거보다 결혼 시기도 많이 늦춰졌고 수명도 많이 늘어나고…"
서울시의 조사 결과도 비슷했습니다.
시민 5천명을 대상으로 조사한 결과 노인 연령 기준은 평균 70.2세였습니다.
시민들이 생각하는 은퇴 시기도 점점 늦춰지는 추세입니다.
적정 은퇴 시기를 65~69세로 생각하는 비율은 5년 전에 비해 10% 가까이 뛴 40%를 기록했습니다.
고령화에 따른 정년 연장 필요성에 동의한다는 응답도 90%에 육박했습니다.
임금체계 변화 없는 정년 연장에 고령자 고용이 1명 늘 때 청년은 1명 줄었다며, 정년 연장 보다는 퇴직 후 재고용이 바람직하다는 한국은행 연구도 있습니다.
전문가들은 비상계엄 이후 멈춘 사회적 대화를 재개해 고령층과 청년의 특성에 맞는 일자리를 구분해 정책을 개발해야한다고 입을 모읍니다.
<김성희 / 고려대 노동전문대학원 교수> "하는 직무와 숙련의 정도가 달라서, 그 다음에 선호하는 일자리 성격도 차이가 나서 충돌이 생각한 만큼 크게 나지 않는다…"
연합뉴스TV 이동훈입니다.
연합뉴스TV 기사문의 및 제보 : 카톡/라인 jebo23
이동훈(yigiza@yna.co.kr)
이 기사의 카테고리는 언론사의 분류를 따릅니다.
기사가 속한 카테고리는 언론사가 분류합니다.
언론사는 한 기사를 두 개 이상의 카테고리로 분류할 수 있습니다.
언론사는 한 기사를 두 개 이상의 카테고리로 분류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