트럼프는 한 권한대행과 28분간 통화한 뒤 SNS에서 “한국의 (무역)흑자, 관세, 조선, 미국산 LNG 대량 구매, 알래스카 가스관 합작 사업, 한국에 제공하는 대규모 군사적 보호에 대한 비용 지불을 논의했다”고 밝혔다. 그러면서 “원스톱 쇼핑이 아름답고 효율적”이라고 했다. 방위비 분담금 증액 문제를 관세·통상·투자 등 현안과 한 테이블에 올려 협상하겠다는 것이다.
트럼프의 방위비 분담금 증액 압박은 대선 후보 시절부터 예고된 바다. 한·미는 조 바이든 정부 때인 지난해 10월 체결한 방위비분담특별협정에서 2026년부터 이 분담금을 8.3% 인상한 1조5192억원으로 정하고, 2030년까지 매년 소비자물가 상승률을 반영키로 했다. 그런데 트럼프가 이 협정 파기도 시사한 것이다. 한국이 방위비 분담금을 대폭 늘리지 않겠다면 LNG 구매나 알래스카 가스관 투자를 하라는 것이고, 관세 문제도 묶어 매듭짓자고 엄포를 놓은 것과 다름없다. 한 권한대행은 “한·미 동맹이 더욱 확대·강화해 나가기를 희망한다”며 조선·LNG·무역균형 등 3대 분야에서 미국과의 협력 의지를 피력했다.
통상 문제와 외교·안보 사안이 완전히 분리될 순 없지만, 두 사안을 직접 연계하는 것은 매우 부적절하다. 게다가 방위비를 포함한 주한미군 문제는 차기 정부의 외교·안보 정책의 큰 그림에서 다뤄져야 한다. 권한대행 정부가 섣불리 그리고 구속력 있게 미국과 협상할 일이 아니다.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 AP연합뉴스 |
<이미지를 클릭하시면 크게 보실 수 있습니다> |
한덕수 대통령 권한대행이 지난 8일 정부서울청사에서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과 전화 통화를 하고 있다. 국무총리실 제공. |
<이미지를 클릭하시면 크게 보실 수 있습니다> |
▶ 매일 라이브 경향티비, 재밌고 효과빠른 시사 소화제!
▶ 주 3일 10분 뉴스 완전 정복! 내 메일함에 점선면 구독
이 기사의 카테고리는 언론사의 분류를 따릅니다.
기사가 속한 카테고리는 언론사가 분류합니다.
언론사는 한 기사를 두 개 이상의 카테고리로 분류할 수 있습니다.
언론사는 한 기사를 두 개 이상의 카테고리로 분류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