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미·일 공동성명’ 겨냥
“실현 불가능한 망상” 거부
<이미지를 클릭하시면 크게 보실 수 있습니다> |
김정은 북한 국무위원장의 동생 김여정 노동당 부부장(사진)이 9일 한국·미국·일본의 ‘완전한 북한 비핵화’ 주장은 “실현 불가능한 망상”이라며 북한은 “핵보유국”이라고 주장했다. 북한과의 대화 의지를 밝힌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에게 협상 재개 조건을 상기시키려는 의도로 분석된다.
김 부부장은 이날 노동신문·조선중앙통신에 ‘미·일·한의 시대착오적인 비핵화 집념은 우리 국가의 지위에 그 어떤 영향도 미칠 수 없다’는 제목의 담화를 공개했다. 한·미·일 외교장관이 지난 3일 북대서양조약기구(나토) 외교장관회의를 계기로 만나 발표한 공동성명의 “북한의 완전한 비핵화” 내용을 겨냥했다.
김 부부장은 “아직까지도 실패한 과거의 꿈속에서 헤매며 ‘완전한 비핵화’를 입에 달고 다니는 것은 자기들의 정치적 판별 수준이 어느 정도로 구시대적이고 몰상식한가를 세상에 드러내 보이는 것이나 같다”고 주장했다.
김 부부장은 북한이 “실제적이고 매우 강한 핵 억제력”을 가졌다면서 “(핵보유국 지위는) 그 누가 부정한다고 하여 달라지는 것이 아니다”라고 밝혔다. 또 “우리는 우리의 선택을 절대로 바꾸지 않는다”며 비핵화 불가를 재확인했다.
담화에 트럼프 대통령을 직접 언급하진 않았지만, 사실상 그를 향한 메시지로 해석된다. 북한이 북·미 협상 재개 조건으로 ‘완전한 비핵화 불가’ ‘핵보유국 지위 인정’ ‘안보 우려 해소’ 등을 제시한 것이라고 전문가들은 평가했다. 홍민 통일연구원 선임연구위원은 “트럼프 행정부에 북·미 접촉의 문턱을 확실하게 상기시키려는 의도”라고 분석했다.
북한도 미국 대북정책을 지켜보면서 서둘러 대화에 나서지는 않을 것으로 전망된다. 내년 노동당 9차 당대회를 앞두고 성과 내기가 필요한 만큼 비핵화 요구를 빌미로 핵무력 개발을 더욱더 가속할 것이라는 관측이 나온다.
박광연 기자 lightyear@kyunghyang.com
▶ 매일 라이브 경향티비, 재밌고 효과빠른 시사 소화제!
▶ 주 3일 10분 뉴스 완전 정복! 내 메일함에 점선면 구독
이 기사의 카테고리는 언론사의 분류를 따릅니다.
기사가 속한 카테고리는 언론사가 분류합니다.
언론사는 한 기사를 두 개 이상의 카테고리로 분류할 수 있습니다.
언론사는 한 기사를 두 개 이상의 카테고리로 분류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