컨텐츠 바로가기

[사설] 관세·방위비 협상 위한 거국 협의체 설치를

0
댓글 첫 댓글을 작성해보세요
주소복사가 완료되었습니다

한덕수 대통령 권한대행 겸 국무총리(왼쪽)와 우원식 국회의장이 작년 12월 15일 만나고 있다. /뉴스1

<이미지를 클릭하시면 크게 보실 수 있습니다>


트럼프 미국 대통령이 예고했던 상호 관세가 9일 오후(한국 시각)부터 발효됐다. 한미 자유무역협정(FTA) 이후 사실상 무관세로 미국과 교역했던 한국은 이제 25% 관세라는 모래주머니를 달고 무역전쟁을 치르게 됐다. 자유무역에 기반을 뒀던 세계 경제도 경험하지 못했던 소용돌이 속에 빠지게 됐다. 정부와 여야 정치권, 그리고 기업이 한 몸으로 이 위기에 대처해도 묘수를 찾기 어려운 상황이다. 그러나 우리는 대통령 부재와 60일 동안의 대선 레이스라는 최악의 조건에서 이 전쟁에 나서게 됐다.

트럼프 대통령의 ‘선(先)과세, 후(後)협상’ 스타일을 감안하면 하루빨리 대미(對美) 협상에 나서야 국익의 최대치를 확보할 수 있다. 그런 의미에서 트럼프 대통령과 한덕수 대통령 권한대행의 전화 통화가 성사된 것은 다행스러운 일이다. 대통령 부재 상황만 아니라면 일본처럼 정상회담을 해야 하지만, 한 대행이 28분 동안 정상 간 직접 소통을 통해 협상에 물꼬를 튼 것은 적지 않은 의미가 있다. 한 대행이 먼저 트럼프 대통령의 관심사인 조선 분야 협력과 알래스카 LNG(액화천연가스) 투자를 통해 도움을 줄 수 있다고 밝혔고, 트럼프 대통령은 작년 10월 바이든 행정부와 합의했던 방위비 분담금 특별협정을 재협상하자고 했다. 트럼프 대통령이 겉으론 관세라는 몽둥이를 휘두르고 있지만 실질적으로 원하는 것은 한미 방위비 분담금 문제라는 뜻이다.

미 백악관은 한미 정상 통화 이후 “우리의 긴밀한 동맹이자 교역 파트너를 우선시하고 있다”며 한국과 일본을 우선 협상 대상자로 언급했다. 이번 협상은 정부가 최일선에 나서지만, 후방에선 여당과 야당, 그리고 기업의 전폭적인 지원이 있어야 한다. 우리가 쓸 수 있는 민관의 모든 카드를 꺼내 놓고 전략을 짜야 협상의 효율성을 높일 수 있다. 고통을 감내할 부분에 대해선 정부와 여야가 함께 대응책을 마련해야 한다.

여야와 민관이 모두 참여하는 거국협의체를 설치하고 이곳에서 전략 논의와 소통이 이뤄져야 한다. 거국협의체를 통해 대선 이후 어떤 정부가 출범하더라도 정책의 연속성이 확보될 수 있도록 해야 협상에 도움이 될 것이다. 정쟁을 중단하고 최대치의 국익을 확보하기 위해 지혜를 모아야 한다.

[조선일보]

- Copyrights ⓒ 조선일보 & chosun.com,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
기사가 속한 카테고리는 언론사가 분류합니다.
언론사는 한 기사를 두 개 이상의 카테고리로 분류할 수 있습니다.

조선일보 주요 뉴스

해당 언론사로 연결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