대한의사협회 김성근 대변인이 지난 8일 서울 용산구 의협회관에서 현안 관련 언론 브리핑을 하고 있다. 연합뉴스 |
<이미지를 클릭하시면 크게 보실 수 있습니다> |
━
의협, 정부에 처음으로 대화 요청…의·정 갈등 새 국면
━
의료개혁 국민적 요구 헤아려 합리적인 해법 찾아야
대한의사협회가 그제 정부와 국회에 “논의 테이블을 마련해 달라”고 요청하면서 의·정 갈등이 새 국면을 맞았다. 의대 증원 등 정부 의료정책에 반발해 온 의협이 1년2개월 만에 전향적인 자세를 보인 건 늦었지만 다행스러운 일이다. 윤석열 전 대통령 파면으로 정국이 급변하는 데 따른 변화로 풀이된다. 의협 대변인은 “무리한 정책을 추진했던 윤 전 대통령이 탄핵당하면서 전공의·의대생이 입었던 상처도 많이 위로받았다고 평가한다”고 했다. 의대 정원 2000명 증원을 강하게 밀어붙인 장본인이 사라졌으니 전공의·의대생들이 의료와 교육의 현장에 복귀할 수 있게 됐다는 의미다. 의협은 2026학년도 의대 정원을 증원 이전 수준인 3058명으로 동결할 수 있다는 정부안에 동의한다는 입장도 처음으로 밝혔다. 증원된 만큼 축소해야 한다는 강경론에서 한발 물러난 모습이다.
의협은 시민사회단체의 목소리에도 귀를 기울여야 한다. 전국보건의료산업노조는 어제 “과학적 수급 추계를 주장해 온 의사 집단의 요구를 우리 사회 공동체가 어렵게 수용했음에도 앞뒤 가리지 않고 제 이익만을 수호하려는 요구는 절대로 수용돼서는 안 된다”며 정원 동결에 반대했다. 경실련은 “대국민 사기극”이라고도 했다. 윤 전 대통령의 2000명 증원 정책은 거칠었지만, 의대 증원과 의료개혁은 국민적 공감대가 형성된 개혁 과제라는 사실을 의협과 의료계는 명심해야 한다. 한 입시학원의 설문조사에 따르면 수험생과 학부모의 53%는 의대 정원 축소에 반대하고 있다.
이런 가운데 의료계 내부에선 윤 전 대통령과 함께 의대 증원 등의 정책을 주도·강행한 관료들의 책임을 묻지 않으면 의·정 협의가 불가하다는 강경론까지 나온다고 한다. 의료계가 계엄령에 ‘처단’ 대상이라고 적혔던 것에 분풀이하듯 탄핵 이후 정국에 임하는 건 바람직하지 않다. 국가의 자산인 의대생들이 선의의 피해자가 되지 않도록 의료계의 어른들이 합리적인 해법을 찾아야 한다.
▶ 중앙일보 / '페이스북' 친구추가
ⓒ중앙일보(https://www.joongang.co.kr),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이 기사의 카테고리는 언론사의 분류를 따릅니다.
기사가 속한 카테고리는 언론사가 분류합니다.
언론사는 한 기사를 두 개 이상의 카테고리로 분류할 수 있습니다.
언론사는 한 기사를 두 개 이상의 카테고리로 분류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