김경수 전 경남지사, 기자회견 열고 대통령실 이전과 개헌 관련 의견 설명
김경수 전 경남지사 〈출처=연합뉴스〉 |
<이미지를 클릭하시면 크게 보실 수 있습니다> |
김 전 지사는 오늘(14일) 여의도 경선 캠프에서 기자회견을 열고 "내란의 본산인 용산 대통령실을 단 하루도 사용해서는 안 된다"면서 "여야가 함께 이전을 약속해야 한다"고 주장했습니다. 의회 중심 정부형태인 의원내각제로의 개헌 제안과 관련해선 반대 입장을 밝혔습니다.
━
"용산, 도·감청 등 안보 문제 심각…비용 문제도"
━우선 '용산 대통령실 사용 불가론'의 이유로는 안보 문제를 꼽았습니다.
도·감청에 취약하고 방공망 등 방호시설이 부족한 것은 물론 주한미군 시설과 물리적 경계 문제로 인해 방호시설과 기지 재배치 비용이 발생할 수 있다는 점도 문제라고 지적했습니다.
"청와대 한시적 재이전이 바람직…세종 집무실 병행"
━대안으로는 '서울 청와대 복귀와 세종 집무실 병행'을 제시했습니다.
김 전 지사는 "청와대에 기존 방호 시스템이 집중돼 있었던 만큼 한시적 재이전이 가장 바람직하다"면서 "세종 제2집무실이 2027년 준공될 예정인 만큼 그전까지는 청와대가 가장 현실적인 대안"이라고 평가했습니다.
청와대 안가나 국무총리 공관을 관저로 쓸 수 있기 때문에 용산보다는 보안 문제도 작고 빠르게 보완이 가능하다는 것입니다.
━
"의원내각제 개헌 반대…세종 집무실 책임장관제 가능"
━의원내각제 개헌 제안과 관련해선 "국민 정서상 맞지 않는다"고 반대 입장을 명확히 했습니다.
대신 대통령이 세종에서 일하는 장관들과 긴밀한 소통 체계를 구축하기 위해 세종에 집무실을 둬야 한다고 주장했습니다.
'책임장관제'를 통해 대통령실에 권력이 집중되는 구조를 고칠 수 있다는 주장입니다.
김 전 지사는 "책임장관제가 제대로 작동하려면 장관이 어느 범위까지 정책을 자율적으로 결정할 수 있을지에 대한 명확한 기준이 필요하다"면서 "그 선을 명확히 한 상태에서 장관이 책임을 지고 (국정을) 운영하고 필요할 때 대통령과 자주 토론하는 구조가 바람직하다"고 설명했습니다.
JTBC의 모든 콘텐트(기사)는 저작권법의 보호를 받은바, 무단 전재, 복사, 배포 등을 금합니다.
Copyright by JTBC All Rights Reserved.
이 기사의 카테고리는 언론사의 분류를 따릅니다.
기사가 속한 카테고리는 언론사가 분류합니다.
언론사는 한 기사를 두 개 이상의 카테고리로 분류할 수 있습니다.
언론사는 한 기사를 두 개 이상의 카테고리로 분류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