산불 화마가 덮친 경북 영덕군 영덕읍 화천리에서 지난 13일 만난 이상범씨(55)가 잿더미로 변해버린 자신의 송이산을 바라보고 있다. 김현수 기자 |
<이미지를 클릭하시면 크게 보실 수 있습니다> |
“평생을 송이로 먹고 살았는데 막막하죠. 이제 공사판 막일이라도 해야 하나 걱정이에요.”
‘역대 최대규모 산불’이 덮친 경북 영덕군 영덕읍 화천리에서 지난 13일 만난 이상범씨(55)는 검게 타 죽은 소나무를 바라보며 망연자실했다. 걸음마를 시작할 때부터 송이를 캐며 3대째 지켜온 삶의 터전은 산불로 한순간 ‘잿더미’가 됐다.
이씨는 “평생을 살면서 이런 산불은 처음본다”며 “의성에서 난 불이 영덕으로 넘어온다는 소식을 듣자마자 불길이 폭포수처럼 쏟아졌다. 온 산이 불바다가 됐다”고 회상했다.
이어 “나는 그나마 젊어서 다행”이라며 “이제 애들을 대학에 보내야 하는 이웃들은 걱정이 태산이고, 나이 많은 어르신들은 ‘죽을 날만 기다린다’며 하소연한다”고 말했다.
의성에서 시작해 지난달 25∼26일 영덕으로 확산한 산불은 영덕읍·지품·축산·영해면 일대 송이산 4137㏊를 태웠다. 영덕지역 전체 산불 피해면적(8050㏊)의 절반이 넘는 규모다.
산불 화마가 덮친 경북 영덕군 영덕읍 화천리에서 지난 13일 만난 이상범씨(55)가 잿더미로 변해버린 자신의 송이산을 바라보며 허탈해하고 있다. 김현수 기자 |
특히 송이 주산지인 지품면과 영덕읍 화천리 일대 산림이 모두 피해를 봤다. 피해를 입은 송이산은 영덕 송이 채취량의 70% 이상을 차지한다. 영덕은 국내 송이 채취량의 약 30%를 차지하는 최대 송이 주산지다.
임산물, 재난지원대상 포함 안돼…보상 막막
퇴직 후 고향인 영덕으로 귀촌한 김영수씨(71)도 날벼락을 맞았다. 김씨는 “강원 동해안 산불이 난 지 20년이 넘은 지금까지도 그 지역 산에는 송이가 자라지 않는다”며 “송이가 다시 나는 데 50년은 걸린다고 하는데 눈앞이 캄캄하다”고 말했다.
산나물 등 임산물은 산불 피해를 봐도 재난 지원 대상에 속하지 않는다. 수확량을 예상할 수 있는 사과·배 등 과수(농작물)와 달리 임산물은 수확량 예측이 쉽지 않아 피해를 정확하게 평가할 수 없기 때문이다.
이 때문에 산불은 임산물 채취로 생계를 이어오는 주민들에게는 ‘재앙’이다. 2022년 발생한 울진·삼척 산불로 송이산을 잃은 이운영씨(52)는 현재 공동주택 경비 일을 하고 있다. 그는 “노후를 책임져 줄 산이 불에 타버려 먹고 살려고 취업했다”며 “이번 산불을 보며 마음이 아파 딸들과 함께 성금을 냈다”고 말했다.
경북 의성군 야산에서 지난달 23일 발생한 산불로 연기가 피어오르고 있다. 문재원 기자 |
<이미지를 클릭하시면 크게 보실 수 있습니다> |
경북도는 울진·삼척 산불 당시 국민성금이 송이농가 460곳에 지급된 전례가 있어 이번에도 성금을 활용한 송이농가 보상이 이뤄질 것으로 기대하고 있다. 현재까지 모금액은 11일 기준 1328억원이다. 울진·삼척 산불 당시에는 약 830억원의 성금이 모였다. 경북도는 행안부에 제출하기 위해 송이 피해 현황을 집계하고 있다.
김현수 기자 khs@kyunghyang.com
▶ 매일 라이브 경향티비, 재밌고 효과빠른 시사 소화제!
▶ 주 3일 10분 뉴스 완전 정복! 내 메일함에 점선면 구독
©경향신문(www.khan.co.kr),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이 기사의 카테고리는 언론사의 분류를 따릅니다.
기사가 속한 카테고리는 언론사가 분류합니다.
언론사는 한 기사를 두 개 이상의 카테고리로 분류할 수 있습니다.
언론사는 한 기사를 두 개 이상의 카테고리로 분류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