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앵커>
부산 도시철도 공사현장 인근에서 지름 3m의 땅 꺼짐이 또 발생했습니다. 이 공사 구간에서만 지금까지 14차례나 땅 꺼짐이 발생한 겁니다.
KNN 이민재 기자입니다.
<기자>
오토바이 한 대가 지나간 직후, 도로 한가운데에 구멍이 뻥 뚫립니다.
지름 3m, 깊이 2m의 거대한 싱크홀인데, 이미 하루 전부터 전조증상이 있었습니다.
인근 지반과 함께 전봇대가 내려앉아, 전기계량기에서 스파크가 튀기까지 했습니다.
도시철도 사상~하단선 공사현장 인근에서 싱크홀 발생이 잇따르고 있습니다.
이번이 14번째일 정도인데, 인근 지반이 가라앉고 있는 것이 눈에 보일 정도입니다.
10년 가까이 이어진 공사에 불편을 호소하던 주민들은, 이제는 불안과 공포를 호소합니다.
[공사 현장 인근 주민 : 공사 기간도 몇 년째 늘어나고. 비만 오면 '싱크홀 생기겠다'하는 불안감은 항상 있죠.]
공사가 이뤄지고 있는 구간의 토질은 모래와 진흙이 쌓인 퇴적토.
토사가 쓸려나가지 않도록 물을 막는 차수 작업을 하기 어려운 구조입니다.
[정진교/부산과학기술대 첨단공학부 : 지반구조학적으로 취약한 구조를 가진 연약 지반입니다. 도시철도 공사가 아니더라도 도로가 계속 유지되면 싱크홀이 반복적으로 발생할 수 있는 지역입니다.]
부산교통공사는 오는 6월 연약지반 굴착을 끝낸 뒤 철근, 콘크리트 차수 작업을 하면 더 이상 토사유출은 없을 것이라 밝혔습니다.
하지만, 당장 차량 통행이 많은 동서고가로 교각 주변마저 구멍이 뻥뻥 뚫리기 시작하면서, 내년 말로 지연된 공사 준공까지 무탈할 수 있을지 걱정이 앞섭니다.
(영상취재 : 전재현 KNN)
KNN 이민재
▶ 네이버에서 SBS뉴스를 구독해주세요!
▶ 가장 확실한 SBS 제보 [클릭!]
* 제보하기: sbs8news@sbs.co.kr / 02-2113-6000 / 카카오톡 @SBS제보
Copyright ⓒ SBS.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 재배포 및 AI학습 이용 금지
부산 도시철도 공사현장 인근에서 지름 3m의 땅 꺼짐이 또 발생했습니다. 이 공사 구간에서만 지금까지 14차례나 땅 꺼짐이 발생한 겁니다.
KNN 이민재 기자입니다.
<기자>
오토바이 한 대가 지나간 직후, 도로 한가운데에 구멍이 뻥 뚫립니다.
지름 3m, 깊이 2m의 거대한 싱크홀인데, 이미 하루 전부터 전조증상이 있었습니다.
도시철도 사상~하단선 공사현장 인근에서 싱크홀 발생이 잇따르고 있습니다.
이번이 14번째일 정도인데, 인근 지반이 가라앉고 있는 것이 눈에 보일 정도입니다.
10년 가까이 이어진 공사에 불편을 호소하던 주민들은, 이제는 불안과 공포를 호소합니다.
공사가 이뤄지고 있는 구간의 토질은 모래와 진흙이 쌓인 퇴적토.
토사가 쓸려나가지 않도록 물을 막는 차수 작업을 하기 어려운 구조입니다.
[정진교/부산과학기술대 첨단공학부 : 지반구조학적으로 취약한 구조를 가진 연약 지반입니다. 도시철도 공사가 아니더라도 도로가 계속 유지되면 싱크홀이 반복적으로 발생할 수 있는 지역입니다.]
하지만, 당장 차량 통행이 많은 동서고가로 교각 주변마저 구멍이 뻥뻥 뚫리기 시작하면서, 내년 말로 지연된 공사 준공까지 무탈할 수 있을지 걱정이 앞섭니다.
(영상취재 : 전재현 KNN)
KNN 이민재
▶ 가장 확실한 SBS 제보 [클릭!]
* 제보하기: sbs8news@sbs.co.kr / 02-2113-6000 / 카카오톡 @SBS제보
Copyright ⓒ SBS.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 재배포 및 AI학습 이용 금지
이 기사의 카테고리는 언론사의 분류를 따릅니다.
기사가 속한 카테고리는 언론사가 분류합니다.
언론사는 한 기사를 두 개 이상의 카테고리로 분류할 수 있습니다.
언론사는 한 기사를 두 개 이상의 카테고리로 분류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