노무현-정몽준 단일화 모델 거론…빅텐트 범위 등에서 의견 엇갈려
유승민·이낙연 등 '제3지대' 주목…'개헌' 고리로 '반명 연대' 시동걸까
비대위원 회의에서 발언하는 권영세 비대위원장 |
(서울=연합뉴스) 류미나 설승은 김치연 기자 = 국민의힘에서 '제3지대 빅텐트론'에 시동이 걸리고 있다.
6·3 대선에서 '반(反)이재명'을 공통 분모로 보수·중도 주자들이 후보 연대 또는 단일화를 도모하자는 구상이다.
윤석열 전 대통령 탄핵 이후 치러지는 조기 대선 국면에서 여론조사 지지율 1위를 달리는 더불어민주당 이재명 예비후보를 저지하기 위해서는 정당과 진영을 막론한 세력의 결집이 필요하다는 취지다.
국민의힘 지도부도 연일 '반명' 기치를 선명히 하고 있다.
권성동 원내대표는 15일 원내대책회의에서 "대한민국을 무한 정쟁과 분열로 몰아갈 이재명 세력을 극복해야 한다"며 "우리 안에 많은 차이에도 불구하고 이번만큼은 공통의 사명"이라고 언급했다.
공약 발표하는 홍준표 전 대구시장 |
원론적으로는 빅텐트 구상에 동의하면서도, 경선 과정에서 주도권을 놓치지 않으려는 저마다 다른 셈법이 작용하는 것으로 보인다.
홍 전 시장은 이날도 SBS 라디오에 출연해 "개혁신당뿐 아니라 민주당의 반이재명 세력도 같이해야 (이재명 예비후보를) 막을 수 있을 것"이라며 "우리 당 후보가 탄생하면 그 사람을 중심으로 반이재명 연대를 만들어야 한다"라고 말했다.
홍 전 시장은 한발 더 나아가 연정론도 꺼냈다. 그는 "필요하다면 연정도 할 수 있고 신(新)탕평책도 할 수 있다"며 "연정이 제안되고 나라를 공동으로 운영할 수 있으면 해야 한다"고 주장했다.
이동하는 김문수 전 장관-손경식 회장 |
김문수 전 고용노동부 장관도 기자들과 만나 "다 (대선에) 나와서 조금씩 다 나눠 먹으면 이재명 후보가 쉽게 당선되는 것"이라며 '빅텐트' 필요성을 강조했다.
다만 "당내 경선이 끝나고 그때 가서 판단할 문제고 경선이 컨벤션 효과 때문에 상당한 정도로 부흥, 성공해야 한다"고 말했다.
한동훈 전 대표는 CBS 라디오에서 "원칙적으로 보수 진영의 많은 분과 연대해야 한다"면서도 "그런데 우리 당의 경선 자체를 희화화하는 방식의 (단일화 등 연대를) 전제하는 거라면 찬성하지 않는다"고 말했다.
일각의 '한덕수 출마론'과 관련해서도 "한 총리는 국민의힘"이라며 "색깔이 다른 외부의 주자와 뭉치는 게 시너지가 있는 것"이라고 부정적인 입장을 보였다. 한 대행이 구(舊) 여권 인사인만큼 지지층 확장 효과가 제한적이라는 것이다.
그는 홍 전 시장이 제안한 '연정론'에 대해선 "전쟁해서 이재명의 민주당을 막겠다는 사람이 이재명의 민주당과 연정을 하겠다? 그건 아니다"라고 선을 그었다.
소통관 향하는 한동훈 전 대표 |
나경원 의원도 인터뷰 등을 통해 '빅텐트론'에 대해 "대한민국 미래를 위한다면 많은 상상을 해봐야 하고, 때로는 결단해야 한다"고 밝혔다.
'빅텐트' 구상과 관련해 당내에서 2002년 노무현·정몽준 단일화 시나리오도 재조명받고 있다.
노무현 당시 새천년민주당 후보는 대선 한 달 전까지 여론조사에서 한나라당 이회창 후보에 줄곧 약세였다가 국민통합21 정몽준 후보와의 막판 극적인 단일화로 선거일을 20여일 앞두고 여론조사에서 역전을 이뤘고, 대권도 거머쥐었다.
서울대 시진핑 자료실 폐쇄 촉구 기자회견 참석한 나경원 |
다만 '범보수 빅텐트' 대상으로 거론되는 개혁신당 이준석 예비후보는 연합뉴스와 통화에서 "빅텐트론에 전혀 관심이 없다"며 대선 완주 의사를 재확인했다.
개혁신당 이동훈 공보단장은 논평에서 "빅텐트 스토킹을 즉각 멈추라. 이준석은 이준석의 길을 갈 것"이라고 말했다.
일각에서는 이낙연 전 국무총리, 김두관 전 의원 등 민주당 계열 '비명(비이재명)계 인사'들과의 느슨한 연대 가능성도 거론된다.
국민의힘 경선 불출마를 선언한 유 전 의원 측도 이 전 총리 등과의 '제3지대 연대' 가능성을 타진하는 것으로 전해졌다.
이런 가운데 민주당을 탈당한 이 전 총리 등이 주축이 된 새미래민주당이 오는 17일 개최하는 개헌연대 집회에 유 전 의원, 김 전 의원 등이 참석할지 주목된다.
이들이 개헌을 고리로 '반명 연대'에 시동을 걸 수 있기 때문이다. 개헌에 미온적인 이재명 예비후보를 압박하면서 '개헌파' 인사들이 정치 개혁과 제왕적 대통령제 폐지 등을 연대 명분으로 삼을 수 있다는 것이다.
'반명 빅텐트' 구상이 실현되기까지는 남은 변수가 많다. 49일 앞으로 다가온 대선일까지 시간이 촉박해 정치·정책적 노선이 상이한 주자들 간에 타협점을 찾기가 쉽지 않을 것이라는 관측이 나온다.
국민의힘 후보가 누가 되느냐에 따라 빅텐트의 동력이 달라질 수도 있다.
탄핵에 반대하는 주자가 당 후보로 확정될 경우 개혁신당이나 민주당 계열 정당 출신 후보와의 단일화 또는 연대가 어려울 수 있다는 관측도 나온다.
minaryo@yna.co.kr
▶제보는 카카오톡 okjebo
▶연합뉴스 앱 지금 바로 다운받기~
▶네이버 연합뉴스 채널 구독하기
<저작권자(c) 연합뉴스,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
이 기사의 카테고리는 언론사의 분류를 따릅니다.
언론사는 한 기사를 두 개 이상의 카테고리로 분류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