컨텐츠 바로가기

이슈 IT기업 이모저모

저커버그 "인스타, 카메라앱 페이스북보다 더 좋아"

0
댓글 첫 댓글을 작성해보세요
주소복사가 완료되었습니다

메타 반독점소송서 인스타 인수 이유 설명

자체 카메라 앱 개발 수차례 실패 언급

'인수 아니면 매장하기' 전략 FTC 주장 뒷받침

[이데일리 양지윤 기자] 마크 저커버그 메타 최고경영자(CEO)는 15일(현지시간) 인스타그램을 인수한 이유는 카메라 애플리케이션 기능이 당시 페이스북(옛 메타)보다 더 나았기 때문이라고 밝혔다.

마크 저커버그 메타 CEO가 14일(현지시간) 워싱턴 DC의 E. 배럿 프리티먼 미국 법원을 떠나고 있다. 미국 연방거래위원회(FTC)는 메타의 인스타그램과 왓츠앱 인수와 소셜 네트워킹 시장을 독점하고 있다는 주장에 대해 메타를 상대로 반독점 재판을 시작했다.(사진=AFP)

<이미지를 클릭하시면 크게 보실 수 있습니다>


로이터 통신에 따르면 저커버그 CEO는 이날 미국 워싱턴DC 연방법원에서 열린 메타 반독점 소송 둘째 날 증인으로 출석해 소송을 제기한 미 연방거래위원회(FTC) 측의 질문에 이같이 답했다.

전날에 이어 이틀 연속 증언대에 선 그는 “당시 빠르게 성장하던 인스타그램이 메타에 위협이 될 수 있다고 생각했느냐”는 FTC 측 변호인 질문에 인스타그램이 당시 페이스북보다 “더 나은 카메라 기능을 가지고 있었다”고 말했다.

그는 “우리는 자체 카메라 앱을 개발하면서 ‘직접 만들 것인가, 인수할 것인가’에 대한 분석을 하고 있었다”며 “인스타그램이 그 부분에서 더 낫다고 판단했고, 그래서 인수하는 것이 낫다고 생각했다”고 밝혔다.

저커버그 CEO는 또한 자체 앱을 만드려는 시도가 여러 차례 실패했음을 인정했다.

그는 “새로운 앱을 만드는 일은 어렵고, 우리가 시도했을 때 대부분 잘 작동하지 않았다”며 “우리는 역대 수십 개의 앱을 만들려고 시도했지만, 그중 대다수는 성공하지 못했다”고 설명했다.

그의 발언은 FTC 측이 지난 2008년 페이스북 내부 문서에서 “경쟁하기보다는 인수하는 것이 낫다”는 등의 이메일을 공개하고, 메타 측이 해명하는 과정에서 나왔다.

저커버그의 언급은 메타가 잠재적인 경쟁자를 사들이거나 배제하는 ‘인수 아니면 매장하기(buy or bury) 전략’을 써왔다는 FTC의 주장을 뒷받침해주는 것으로 보인다고 로이터 통신은 분석했다.

저커버그 CEO는 인스타그램 인수 전인 2011년 작성한 이메일에서는 “인스타그램이 모바일에서 계속 잘 나가거나 구글이 이를 인수하면 몇 년 안에 우리가 지금 하는 기능을 그들도 쉽게 추가할 수 있다. 그리고 사람들이 올린 사진이 점점 많아진다면 그건 우리에게 진짜 위협이다”고 썼다.

다만 메타는 과거에 그런 의도가 있었다고 해도 지금의 상황과는 관련이 없다면서 메타가 경쟁자가 없기 때문에 사용자에게 더 많은 광고를 보여줄 수 있다는 FTC의 주장에 이의를 제기했다. 현재 메타는 틱톡이나 유튜브, 애플의 메시지 앱과 같은 많은 경쟁자가 있는데, FTC가 이들을 고려하지 않고 있다는 것이다.

반독점 소송은 일반적으로 독점자가 고객에게 가격을 인상할 수 있는 능력에 초점을 맞추는 반면, FTC는 광고 수를 늘리는 등 사용자가 무료로 액세스하는 앱의 품질을 낮출 수 있는 메타의 능력을 지적했다.

저커버그 CEO는 “더 많은 광고가 더 나쁜 사용자 경험과 같다는 생각에 반박하면서 메타 앱의 광고가 개선되었으며 시스템이 광고 콘텐츠를 보는 것을 좋아하는 사람들에게 더 많은 광고 콘텐츠를 보여주도록 설계됐다”고 말했다.

이번 재판은 미 연방거래위원회(FTC)가 소셜미디어(SNS) 왕국인 메타의 인스타그램(2012년) 및 왓츠앱(2014년) 인수가 시장경쟁을 저해하는 불법적인 독점 행위라며 지난 2020년 처음 소송을 제기한 데 따른 것이다.

재판은 약 두 달간 진행되며, 메타가 소셜미디어(SNS) 시장을 불법적으로 독점했다는 판결이 나오면 메타는 인스타그램과 왓츠앱을 매각해야 할 수도 있다.


기사가 속한 카테고리는 언론사가 분류합니다.
언론사는 한 기사를 두 개 이상의 카테고리로 분류할 수 있습니다.

이데일리 주요 뉴스

해당 언론사로 연결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