강태원 책임연구원이 6G 저궤도 위성 통신용 임피던스 측정표준 개발에 사용한 도파관 표준기를 들어 보이고 있다. |
<이미지를 클릭하시면 크게 보실 수 있습니다> |
한국표준과학연구원(원장 이호성)은 우리나라가 개발 중인 6G 저궤도 위성 통신 성능을 신뢰성 있게 검증할 수 있는 표준을 확립했다고 16일 밝혔다.
최근 통신 패러다임이 지상 기지국 중심 2차원(평면적) 통신에서 공중·우주를 활용한 3차원(입체적) 통신으로 전환되고 있다.
2차원 통신은 산간·해양 등 환경에서 서비스가 제한되는 반면, 3차원 통신은 사각지대 없이 빠른 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고 전쟁·재난 등으로 지상망이 마비돼도 통신을 안정적으로 유지할 수 있다.
지구 표면에서 가까운 고도(200∼2000㎞ 사이)에서 데이터를 중계하는 6G 저궤도 위성은 3차원 통신의 핵심 인프라다. 미국 스페이스 X '스타링크'가 대표적인 상용화 사례다. 우리나라도 한국형 스타링크 구축을 위해 작년 4월, 국내 기술로 개발한 초소형 저궤도 위성인 '네온샛 1호'를 발사했다.
하지만 기존에는 우리나라만의 6G 저궤도 위성 통신용 측정표준이 확립되지 않아, 국내에서 개발한 위성의 기술력을 검증하기 힘들었다.
도파관은 전자기파를 특정한 경로로 전달하는 구조물로, 고주파를 손실 없이 전달할 수 있고 내구성도 뛰어나 위성 통신 시스템의 신호 전달 채널로 쓰인다.
연구진은 도파관을 통해 전송할 수 있는 주파수 대역 중 국산 초소형 저궤도 위성에 쓰이는 X대역(8~12㎓) 임피던스 측정표준을 최우선 확립했다.
이번 표준 개발로 국산 저궤도 위성에 쓰이는 소자와 부품의 기술 신뢰성을 한층 높일 수 있게 됐다. 정확한 측정표준을 통해 위성 시제품 단계에서 신호 세기, 지연 시간, 전파 손실량 등 여러 성능 지표를 정량적으로 파악하고 이를 개선해 품질을 높일 수 있다.
표준연은 이번 개발한 측정표준을 산업 현장에 보급하기 위한 도파관 임피던스 교정 기술도 함께 개발했다. 국내 기술을 이용해 적은 비용으로 더 정확한 교정을 수행할 수 있게 됐다.
조치현 전자파측정그룹 책임연구원은 “이번 개발한 표준은 위성 통신뿐만 아니라 레이다 시스템, 항공기 등 도파관이 사용되는 모든 분야에 적용할 수 있다”며 “앞으로도 국내 산업계와 국방 분야가 필요로 하는 전자파 측정표준을 확립해 국가 산업 경쟁력 제고에 기여할 것”이라고 말했다.
김영준 기자 kyj85@etnews.com
이 기사의 카테고리는 언론사의 분류를 따릅니다.
기사가 속한 카테고리는 언론사가 분류합니다.
언론사는 한 기사를 두 개 이상의 카테고리로 분류할 수 있습니다.
언론사는 한 기사를 두 개 이상의 카테고리로 분류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