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서울=뉴스1) 허경 기자 = 해병대원 순직사건 수사외압 의혹을 수사 중인 고위공직자범죄수사처(공수처) 수사관들이 대통령비서실과 국가안보실에 대한 압수수색을 시도하기 위해 7일 서울 용산구 대통령실 민원실 출입구로 들어서고 있다. 2025.5.7/뉴스1 Copyright (C) 뉴스1.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 및 재배포, AI학습 이용 금지. /사진=(서울=뉴스1) 허경 기자 |
<이미지를 클릭하시면 크게 보실 수 있습니다> |
해병대 채수근 상병 순직 사건 조사 외압 의혹을 수사하는 고위공직사범죄수사처(공수처)가 대통령비서실과 국가안보실 압수수색을 통해 관련 자료를 확보했다고 밝혔다.
공수처 관계자는 13일 정부과천청사에서 열린 정례 브리핑을 통해 "(필요한 자료를) 모두 확보했다고 하기는 어렵지만, 필요한 자료를 확보했다"고 말했다.
추가 압수수색 여부에 대해선 "수사팀이 판단할 문제다. 수사팀이 필요하다고 하면 (압수수색을) 할 수도 있다. 현재는 압수 대상물을 분석하고 있다"고 했다.
공수처는 지난 7~8일 이틀간 대통령 비서실과 안보실에 대한 압수수색을 진행했다. 공수처는 압수물 분석을 토대로 윤석열 전 대통령이 2023년 채 상병 사건에 대한 수사 과정에 부당하게 개입했는지 확인할 예정이다.
이 사건은 공수처 수사3부(부장검사 이대환)가 수사하고 있다. 압수수색 영장에는 이른바 'VIP 격노설' 의혹이 제기된 윤 전 대통령과 이종섭 전 국방부 장관이 직권남용 혐의 피의자로 적시됐다.
공수처는 2023년 7월 경북 예천군 수해 실종자 수색에 투입됐다 급류에 휩쓸려 숨진 고 채 상병 사망 사건과 관련 윤 전 대통령이 해병대 수사단의 경찰 이첩 방침에 불만을 표시한 직후 국방부가 이를 보류한 정황에 주목하고 있다.
해병대 수사단은 2023년 7월30일 임성근 전 해병대 1사단장 등 8명을 업무상 과실치사 혐의로 경찰에 넘기겠다고 보고했고, 이 전 국방부 장관은 같은 날 이를 결재했다. 그러나 다음 날 대통령실 회의에서 윤 전 대통령이 관련 보고를 받은 직후 국방부가 방침을 번복하면서 대통령실 개입 의혹이 제기됐다.
이에 공수처는 'VIP 격노설'이 불거진 7월30일부터 8월1일 사이 대통령실 회의자료와 보고 문건, 출입기록 확보에 주력하고 있는 것으로 알려졌다.
양윤우 기자 moneysheep@mt.co.kr
ⓒ 머니투데이 & mt.co.kr,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이 기사의 카테고리는 언론사의 분류를 따릅니다.
기사가 속한 카테고리는 언론사가 분류합니다.
언론사는 한 기사를 두 개 이상의 카테고리로 분류할 수 있습니다.
언론사는 한 기사를 두 개 이상의 카테고리로 분류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