중대본, 오전 5시 기준 산불 현황
산불영향구역 4.6만ha 역대최대
진화율은 올라섰으나 안심하기 일러
28일 경북 의성군 점곡면 윤암리 한 마늘밭 인근 비탈이 산불에 검게 탄 가운데 농민들이 일을 하고 있다. 산불대응 중앙재난안전대책본부에 따르면 이날 오전 의성군 산불 진화율은 95%로 집계됐다. [연합] |
<이미지를 클릭하시면 크게 보실 수 있습니다> |
[헤럴드경제=박준규 기자] 경상북도 의성을 ‘진원(震源)’ 삼아 동쪽으로 퍼져나간 이번 산불은, 이미 유례없는 최악의 산불로 기록됐다. 여전히 꺼지지 않은 화재 면적만 수도 서울 크기의 77%에 달한다. 진화가 완료된 다른 지역까지 감안하면 서울땅의 10분의 8이 불에 탔다. 진화율이 올라섰으나 변화무쌍한 강풍이 도사리고 있어서 긴장을 늦출 수 없는 처지다.
28일 산불대응 중앙재난안전대책본부(중대본)에 따르면 이날 오전 5시 기준 아직 잡히지 않은 화재 구역은 6곳(경북 의성·안동·영덕·영양·청송, 경남 산청·하동). 산불영향구역 면적은 4만6927헥타르(ha)로, 전날 오후 6시 기준(3만7575ha)보다 확대됐다. 서울 면적(6만500ha)의 77% 가량이 산불에 휩쓸린 셈이다.
진화율은 전날보다 올라섰다. 산불이 시작된 의성군 진화율은 95%로 기록됐다. 청송(89%), 산청·하동(86%), 안동(85%) 등도 전날 저녁보다 불길이 많이 잡힌 것으로 파악됐다. 피해가 심각한 경북권 평균 산불 진화율은 85%로 12시간 전 수치보다 22%포인트(p) 올랐다.
28일 오전 경북 안동시 낙동강변 둔치에 마련된 소방지휘본부에서 전국 각지에서 모인 소방차들이 대기를 하고 있다. [연합] |
<이미지를 클릭하시면 크게 보실 수 있습니다> |
임상섭 산림청장은 이날 오전 브리핑에서 “밤사이 내린 비로 연무가 적어져 시야 확보가 유리하고 기온이 이전보다 낮아져 진화에 유리한 상황”이라고 말했다.
이번 산불로 비롯된 피해자는 총 65명으로 집계됐다. 사망자 28명, 중경상자 37명이다. 불을 피했다가 아직 집으로 돌아가지 못한 이재민은 2407세대·8078명으로 집계됐다. 경북에서만 3396개소의 주택과 건물, 농업시설이 불에 타는 피해를 입었다.
이 기사의 카테고리는 언론사의 분류를 따릅니다.
기사가 속한 카테고리는 언론사가 분류합니다.
언론사는 한 기사를 두 개 이상의 카테고리로 분류할 수 있습니다.
언론사는 한 기사를 두 개 이상의 카테고리로 분류할 수 있습니다.